유럽 일부 관광지의 강과 호수에서 사람에게 감염되는 기생충이 확산하고 있어 여행객의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영국 데일리메일 등 외신은 몇 년 새 프랑스 코르시카 섬의 강과 호수에서 달팽이를 매개로 한 주혈흡충증(Schistosomiasis) 감염 사례가 잇따라 보고됐다고 보도했다. 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 등 남유럽 지역에서도 감염 사례가 확인됐다.
주혈흡충증은 ‘달팽이 열’(Snail Fever) 혹은 ‘빌하르지아’(Bilharzia)로 불리며, 민물 달팽이를 숙주로 삼아 번식한 기생충에 감염되면서 발생한다. 기생충에 감염된 달팽이가 서식하는 민물에서 수영하거나 목욕할 경우, 기생충이 피부를 통해 인체에 침투하는 방식으로 인간에도 감염될 수 있다. 이후 기생충이 체내에 수천 개의 알을 낳으면서 장기 곳곳에 손상을 일으키고 질병을 유발한다.
감염 초기에는 대체로 증상이 가벼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열, 발진, 설사, 기침 등으로 시작되기 때문에 감염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병이 악화하는 경우가 많다.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할 경우 불임, 방광암, 실명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초기 대응이 중요하다.
이 질병은 당초 아프리카 사하라 인근 지역에서 발생하던 풍토병이었지만,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유럽 전역으로 확산하는 추세다. 벨기에 루벤 대학교(KU Leuven) 연구진은 “기온 이상으로 달팽이 서식 환경이 넓어지면서 감염 지역도 함께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까지 주혈흡충증에 대한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지만 프라지콴텔(Praziquantel)이라는 치료제가 사용 가능하다. 다만 기생충이 해당 치료제에 대한 내성을 갖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태다.
영국 국가 보건 서비스(NHS)는 “예방을 위해 민물에서의 수영이나 발을 담그는 행위를 삼가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어 “최근 감염 사례가 보고된 지역을 다녀온 여행객 가운데 이상 증상이 있다면, 지체 없이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