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에 이물질이 걸려 숨을 제대로 못 쉬던 아기를 인근 어린이집 원장이 하임리히법으로 구조했다.
15일 채널A에 따르면 지난 9일 오후 대구 동구의 한 어린이집으로 생후 8개월 아기를 안은 엄마가 다급히 뛰어 들어왔다. 아기는 산소가 부족하면 피부가 점점 파래지는 청색증 현상을 보였다. 엄마는 어린이집 교사들에게 “도와주세요”라고 외치며 119에 신고했다.
교사들은 아기의 상태를 살폈고 김영숙 원장은 신속히 아기를 뒤집어 무릎 위에 놓은 뒤 등을 두드리기 시작했다. 이물질로 기도가 막혀 질식 위험이 있을 때 쓰는 응급처치 ‘하임리히법’을 시행한 것이다.
김 원장이 아기의 등을 계속 두드리자 아기는 이물질을 뱉어냈다. 아기 입에서는 주사한 자리에 붙이는 동전 모양의 반창고가 나왔다.
김 원장은 “아이 얼굴에 혈색이 돌아오는 것을 느낀 순간 아기 어머니와 선생님 모두 눈물을 흘렸다”며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어린이집에서 1년에 1번씩 하임리히법과 심폐소생술 교육을 한다”며 “위급한 상황이 벌어지니 당황했지만 몸이 먼저 반응했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아기는 해당 어린이집 원생이 아니었으나 아기 엄마는 “어린이집이라면 대처 방법을 알 것 같아 달려왔다”고 했다.
한편 하임리히법의 경우 연령에 따라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 1세 미만 영아의 경우 머리를 45도 각도 아래쪽으로 향하게 한 뒤 손바닥으로 등을 두드려야 한다.
반면 성인의 경우 구조자가 환자의 등 뒤에서 주먹을 쥔 손으로 명치 부위를 세게 밀어 올려 이물질이 밖으로 나오게 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