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 둔화와 국내 정치 혼란 속에서도 올해 1분기 코스피 기업의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코스닥에서는 절반에 가까운 기업이 적자를 기록하는 등 수익성이 악화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2월 결산 코스피 상장사 636개사의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56조 9957억 원으로 1년 전보다 23.47% 늘었다. 2010년 이후 분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매출액은 759조 1712억 원으로 6.65%, 순이익은 51조 5279억 원으로 무려 41.79% 증가했다.
삼성전자를 제외하더라도 영업이익은 27.19%, 순이익은 46.37% 급증하며 전반적인 기업 이익 회복세가 확인됐다. 지난해 대비 흑자가 지속된 기업은 431개사, 흑자로 전환한 기업은 47개사였다.
실적 개선의 주된 배경으로는 반도체·제약 등 주요 수출 품목의 회복세가 꼽힌다. 20개 업종 중 전기·가스(93.77%), 제약(87.46%) 등 13개 업종은 영업이익이 증가했고 비금속(-71.98%), 기계·장비(-33.85%), 종이·목재(-73.01%) 등 7개 업종은 부진한 성적을 냈다.
반면 코스닥 상장사들은 아쉬운 실적을 보였다. 12월 결산 1212개사의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2조 2420억 원으로 2.36% 줄었고 순이익은 1조 5625억 원으로 26.78% 급감했다. 특히 전체 기업 중 46.86%에 해당하는 568개사가 적자를 냈고 이 중 190개사는 지난해 흑자에서 올해 적자로 전환됐다. 전체 23개 업종 중 제약(5204.29%), 정보기술(IT)서비스(130.08%), 운송장비·부품(28.71%) 등 11개 업종의 영업이익이 늘었고 비금속(-90.23%), 전기전자(-67.93%), 오락·문화(-38.675) 등 12개 업종은 감소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