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연예인 소속사나 방송사 촬영팀을 사칭해 자영업자에게 주류 대리 구매를 시킨 뒤 금전을 편취하는 형식의 노쇼 사기가 전국 각지에서 기승을 부리자 경찰이 경고에 나섰다.
경찰청은 20일 “최근 유명 연예인 소속사나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국회의원 보좌관을 사칭한 노쇼 사기가 유행하고 있다”며 “이번 사건을 피싱사기 전문수사부서인 강원경찰청 형사기동대 피싱범죄수사계를 집중수사관서로 지정해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최근 사기 조직은 연예인 소속사 관계자 등을 사칭하며 30~40명 규모의 단체 회식을 위해 식당을 빌리고 싶다며 자영업자에게 접근한다. 이후 현장에서 돈을 줄 테니 고가의 주류를 준비해달라고 요청하며 조직과 한패인 특정 주류 업체의 명함을 발송한다. 업체에 대금을 송금하는 즉시 사기 조직은 잠적하고 자영업자는 주류비는 물론 미리 준비한 음식까지 손해를 보게되는 구조다.
경찰은 소상공인들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장이며, 거래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사기 조직의 요구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특히 관공서의 경우 지역사회에 대한 영향력이 큰데다 사기 조직이 위조 공문서까지 사용하기 때문에 더욱 쉽게 당할 수 있다.
사기 조직은 언제든 기망자들의 역할과 범행에 이용할 물품만 바꿔서 계속 활동할 수 있다. 이들은 사회 이슈에 맞춰서 계속 새로운 시나리오를 만들어 내기 때문에 앞으로도 다양한 기망자 역할 및 시나리오가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경찰 수사 결과 이번 사건은 동남아시아에 있는 콜센터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다수 접수되고 있는 정당 사칭 사건도 다른 노쇼 사기들에서 발견되는 통신 형태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휴대전화로 대량 주문이 들어오면 연락 온 전화번호가 아닌 해당 공공기관·사무실의 공식 전화번호에 직접 확인해서 물어봐야 한다. 또한 선결제를 요구하는 것도 방법이다. 해당 업체에서 취급하지 않는 다른 물품을 대리하여 구매해달라는 요청은 노쇼 사기의 전형적 형태기 때문에 거절하는 것이 좋다.
경찰은 “우리나라는 지난해 기준 피싱 범죄 피해액이 8979억 원에 달할 정도로 피해가 심각하다”며 “날로 진화하는 사이버 기반 사기에 대응하려면 차단·예방이 더욱 강화돼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법률 개정 및 민·관의 강력한 협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