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3기 신도시 등의 광역교통개선 사업 속도를 높이기 위해 집중투자사업 전담조직(TF)을 구축하고 첫 회의를 개최한다고 26일 밝혔다.
집중투자사업은 주요 광역교통 개선대책사업 중 광역교통 개선 효과가 크거나 이해관계자 간 갈등 등으로 적기 구축이 우려되는 사업이 대상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그간 광역교통 개선대책 사업의 경우, 지자체, 사업시행자(LH)등 협업체계가 부족해 사업일정이 내부적으로만 추진되거나 관리되면서 교통시설 공급이 지연되는 사례가 발생해 왔다”며 “이에 TF를 구성해 갈등 조정과 인허가 기간 단축을 목표로 집중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집중투자사업의 범위를 수도권뿐만 아니라 지방권으로 확대하고 24개 사업을 선정해 사업 전반에 걸친 종합적 관리를 추진할 계획이다. 집중투자사업은 사업의 유형에 따라 갈등조정형, 신속 인허가형, 직접 인허가형으로 구분하고 각 사업별로 관계기관(지자체, 사업시행자 등) 과의 실무 협업을 통해 사업 실행력을 높일 예정이다. 예를 들어 관계기관 간 이견 발생으로 사업이 지연된 경우에는 대광위가 적극적으로 갈등을 조정·중재하는 방식이 도입된다.
강희업 대광위원장은 회의에 앞서 “앞으로 집중투자사업 TF는 ‘광역교통 문제해결 드림팀’이 되어 더 나은 교통편의를 위해 구성원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전력을 다해 활동에 임할 계획”이라면서 “실행력 있는 계획 수립과 철저한 이행관리를 통해 광역교통시설 구축을 앞당기는 한편, ’25년에 최대한 많은 사업이 발주 등 조속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한 의지를 표명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