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3일 김성훈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과 김주현 전 청와대 민정수석을 연이어 소환했다. 특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 방해와 계엄 선포 관련 결정 과정 등 핵심 쟁점들을 둘러싸고 두 사람의 역할과 지시 체계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이날 김 전 경호처 차장은 이날 오전 9시 24분, 김 전 민정수석은 20여 분 뒤인 오전 9시 46분께 나란히 서울고검 청사에 출석했다. 두 사람 모두 취재진의 질문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한 채 조사실로 향했다.
김 전 차장은 공수처와 경찰이 지난 1월 윤 전 대통령에 대해 체포영장을 집행하려던 당시, 현장에 직접 개입해 집행을 가로막았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특검은 김 전 차장을 상대로 당시 대치 상황과 행동의 배경, 윗선의 개입 여부 등을 집중적으로 캐물을 방침이다. 그는 이미 특검 수사 초기 출국금지 조치를 받은 상태다.
이어 출석한 김 전 민정수석은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 과정에서의 역할, 사후 계엄 선포문이 만들어졌다 폐기된 정황, 그리고 대통령 안가 회동 당시의 지시·보고 체계 등을 둘러싼 의혹의 중심에 있다. 특히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과의 연락 방식이나 국무회의와 관련된 의사결정 라인을 특검이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오는 5일 윤 전 대통령의 두 번째 직접 조사를 앞두고, 핵심 관계자들의 증언을 확보해 윤 전 대통령과의 연관성을 조밀하게 구성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박종준 전 대통령경호처장, 이광우 전 경호본부장도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수사선상에 올라 있다.
특검은 비화폰 기록 삭제 지시, 국무회의 의결 절차 왜곡, 외환유치 혐의까지 포괄해 윤 전 대통령에 대한 내란 및 외환 혐의를 규명 중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