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과 업무를 도울 인공지능(AI) 에이전트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한국은 범용 모델보다는 의료와 뷰티·제조 등 강점을 활용한 전문 분야를 노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삼일PwC가 21일 발표한 ‘에이전트의 시대, AI에 날개를 달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대화형 AI’에서 자율주행차와 휴머노이드 등 ‘피지컬 AI’로 넘어가는 가교 역할로 AI 에이전트가 부상하고 있다. 사용자 질문에 간략히 응답하는 기존 AI 모델과 달리 AI 에이전트는 스스로 분석해 결정을 내리고 외부 데이터와 도구까지 활용할 수 있는 ‘자율형 AI’다. 시장조사 기관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AI 에이전트 시장은 향후 연평균 46% 성장해 2030년 50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대규모언어모델(LLM) 개발 경험이 제한적인 국내 기업이 AI 에이전트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범용 모델보다는 특정 분야에 전문화된 모델 개발을 제안했다. 특히 한국이 강점을 지닌 의료·뷰티·제조 분야의 특화형 에이전트 개발 전략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안전한 AI 사용을 지원하는 자동화된 통제 기술인 ‘가디언 에이전트’ 분야에서도 기회가 있을 것으로 짚었다. 보고서는 “자율성 높은 에이전트가 산업에 도입될 경우 오작동 또는 악용에 따른 잠재 피해 규모가 매우 클 것”이라며 “AI의 행동을 관찰·추적하고 필요 시 동작을 조정·차단하는 기술 개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또 “해외 AI 파운데이션 모델에 과도하게 의존해 기술 자립에 손 놓아서는 안 된다”며 ‘소버린(주권) AI’ 달성을 위한 자체 AI 기저 기술 개발도 병행해야 한다고 했다.
정재국 삼일PwC 기술·미디어·통신(TMT)산업 리더는 “AI 에이전트로 가속화될 AI 대전환의 시대에 AI 주권은 국가를 대변하는 첨단 언어이자 경쟁력”이라며 “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선제적 투자를 통해 미래 경쟁력을 키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