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2학년 학생 10명 중 1명꼴로 국어 실력이 기초 학력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문해력 저하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6년 연속 상승세를 보이며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최고치를 기록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2일 발표한 '2024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고2 국어 과목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이 9.3%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2017년 표집 평가 도입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2017년 5%였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코로나19 팬데믹이 본격화된 2020년 6.8%로 급증했고, 이후 7.1%→8.0%→8.6%→9.3%로 매년 증가했다.
중학교 3학년 역시 10.1%가 국어 기초 학력에 미달했다. 2022년 11.3%에서 2023년 9.1%로 한때 낮아졌지만 올해 다시 반등한 수치다.
기초학력 미달은 교과내용의 20%도 이해하지 못하는 상태로 현장 교사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학생들의 문해력 저하를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지난해 전국 초·중·고 교원 584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2%가 학생 문해력이 과거에 비해 ‘저하됐다’고 답했다. 한 고교 교사는 "위인전의 '위인' 뜻을 모르는 학생이 있는가 하면 '마중물'이나 '계륵' 같은 한자어를 절반 이상이 모른다"고 전했다. 중학교 교사들은 "수도라는 기본 개념조차 모르는 학생도 있다"고 했다.
교육부는 국어 기초학력 미달 상승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로 보지 않지만 현장의 체감과는 온도차가 크다.
반면 수학 과목에서는 ‘수포자’ 비율이 다소 줄었다. 고2 수학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은 2023년 16.6%에서 2024년 12.6%로 감소했다. 중3 수학 기초학력 미달도 13.0%에서 12.7%로 소폭 줄었다. 교육부는 학교 현장에 대한 수학 기초학력 지도와 관심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