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가 11일 대구·경북 합동 연설회에서 소란을 피운 전한길 씨에 대한 징계 절차에 돌입한 가운데 최고위원 후보들은 전 씨가 진행하는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징계가 부당하다”고 입을 모았다. 당 지도부가 전 씨와의 거리를 두는 상황에서도 후보들은 전 씨를 통해 강성 지지층 결집에 나서는 모양새다.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모든 이슈를 빨아들이고 있는 전 씨에게 단단히 발목이 잡혔다는 자조가 나온다.
국민의힘 중앙윤리위는 이날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회의를 열고 전 씨에 대한 징계 개시를 의결했다. 여상원 윤리위원장은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징계 개시를 결정하면 당사자에게 서면으로 소명 자료 제출과 필요하면 윤리위에 출석해 입장을 밝힐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공문을 서면으로 보내야 한다”며 “오후에 전 씨에게 공문을 발송한 뒤 14일 윤리위를 다시 개최할 것”이라고 밝혔다. 징계 수위는 14일 윤리위 회의에서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전 씨는 앞서 8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 합동 연설회에서 ‘찬탄(탄핵 찬성)’파 후보의 연설을 방해하며 “배신자”를 연호하는 등 소란을 벌였다. 일부 당원들이 전 씨에게 물병을 던지며 항의하는 과정에서 참석자들 사이에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전 씨는 취재진에게 주어지는 ‘프레스’ 비표를 받아 입장했다.
파장이 커지자 당 지도부는 황급히 선 긋기에 나섰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전당대회에서 함부로 소란을 피우고 갈등을 조장한 행위는 결코 용납될 수 없다”며 “윤리위 결론과 무관하게 당 차원에서 전 씨의 행사장 주변 출입을 엄격하게 금지했다”고 강조했다. 박성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도 “전한길뉴스는 국회 출입기자 미등록 상태”라며 “취재 신청 자격이 없다”고 일축했다.
지도부의 선 긋기에도 불구하고 최고위원에 출마한 김민수·김재원·김태우·손범규 후보는 이날 전 씨가 포함된 ‘자유 우파 유튜브 연합 토론회’에 출연해 이른바 ‘전한길 면접’에 응했다. 김재원 후보는 “전 씨는 언론인 자격으로 취재한 것”이라며 “출입 금지 조치는 보복 조치”라고 지적했다. 김태우 후보도 “적절한 정도의 얘기를 했을 뿐”이라며 공개 지지 의사를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