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업계가 여당과 만나 온라인 플랫폼 독과점 문제 해결을 위한 입법을 요구했다. 플랫폼 업체의 과도한 수수료와 판촉비 부담 강요가 식품 가격 상승을 부추긴다는 이유에서다. 최근 식품업계의 K푸드 수출액이 늘고 있는 만큼 산업 육성을 위해 연구개발(R&D)과 물류비 지원을 건의하기도 했다.
12일 정치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물가대책 태스크포스(TF)는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획재정부·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를 비롯해 한국식품산업협회, CJ제일제당, SPC삼립, 남양유업 등 식품업체 16곳과 간담회를 열었다. 최근 치솟은 가공식품 물가 대책 마련을 위해 업계와 머리를 맞댄 것이다.
이날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소비자물가는 가공식품을 중심으로 높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7월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전년 동월 대비)이지만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4.1%로 두 배에 가깝다. 구체적으로 커피(15.9%), 햄·베이컨(7.1%), 빵(6.4%) 등 국민이 체감하기 쉬운 품목 가격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업체들은 간담회에서 대형 온라인 유통 플랫폼의 독과점 구조를 최근 식품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꼽았다. 업계 관계자는 “다양한 원가 상승 요인에도 불구하고 가격 인상을 자제하거나 최소화하면서 정부 물가 안정 기조에 동참하고 있다”면서도 “온라인 유통 플랫폼의 판매 수수료, 판촉비 부담, 가격 경쟁 강요로 팔수록 손해 역마진 구조”라고 토로했다.
이어 “온라인 플랫폼 업체는 최저가 매칭 시스템을 적용한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틀어 최저가를 적용하는 구조 탓에 (업체들이) 온라인 판매에서 이익을 남기지 못하는 구조”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여당에 온라인 유통 거래의 공정성 제고를 위한 입법 추진을 건의했다.
식품업계는 최근 원자재 가격이 크게 올라 경영 애로를 겪는 만큼, 민주당 TF에 R&D투자와 물류비 지원을 요구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식품 기업들은 기후변화로 인한 공급망 불안이나 원자재 가격 인상 등 경영비 부담 겪고 있다”며 “R&D 투자에 대해 정부가 지원해 줬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또 “K푸드 수출액이 늘고 식품 산업 규모가 커지고 있는 만큼 성장하는 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며 “식품 수출 기업들이 물류비나 해외 물류창고 확보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에 대한 지원을 검토해 달라”고도 했다.
TF 위원장인 유동수 민주당 의원은 “원자재 가격 상승, 환율 불안, 인건비 상승 등 어려운 식품업계 상황도 잘 알고 있지만 가공식품 안정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최근 제당업계 3사(CJ제일제당, 삼양사, 대한제당)와 협의해 국내 커피음료와 빙과, 제과 등 국내 식품산업에 설탕을 제공하는 B2B 시장에서 설탕 가격을 4% 인하하기로 한 만큼 가공식품 물가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유승 기자 ky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