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와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이 이재명 정부가 국정과제로 내세운 생산적 금융 달성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이 후보자는 14일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한국의 진짜 성장과 재도약을 위해서는 금융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생산적 금융으로의 대전환, 포용금융 강화, 건전한 자본시장 활성화 등 새 정부의 금융 분야 국정과제를 국민 여러분들이 체감하도록 헌신의 힘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재명 정부가 금융 분야 국정과제로 꼽은 △생산적 금융 △포용금융 △코스피 5000 달성 △가계부채 관리 △소비자 보호 강화에서 성과를 내겠다고 밝힌 것이다. 특히 이 후보자는 “한국 금융의 현실을 보면 부동산 등에 머물러 있는 부분이 많다”며 “자금의 물꼬를 보다 혁신적이고 국가 경제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쪽으로 어떻게 빨리 근본적으로 바꾸느냐가 생산적 금융의 요체”라고 언급했다.
이 후보자는 금감원과의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금융위와 금감원은 금융 시장 발전과 국정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원팀 정신으로 긴밀히 협조해야 한다”며 “어제 금감원장과 통화하면서 유기적으로 협업하는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취지로 말씀을 드렸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도 이날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모험자본 공급 펀드와 중소기업 상생지수 등을 도입해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모험자본 공급을 확대하겠다”며 “금융 부문의 안전한 인공지능(AI) 활용과 디지털 자산 생태계 육성에 관한 법·제도적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기자들과 만나 “의외로 과격한 사람 전혀 아님을 말씀드린다”며 “자본시장이나 금융시장의 불안정을 초래할 만한 액션이나 이런 것들이 당장 저한테 나올 걸로 기대하진 말아 달라”고 자세를 낮췄다.
포용금융과 관련해서는 “금융권 채무조정 활성화와 대출 부담 경감 프로그램 확대 등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금융 안정의 경우 “가계부채 총량의 안정적 관리 기조를 확고히 유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이날 소비자보호를 위해 금융기관에 적극적인 검사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점도 시사했다. 그는 △상법 개정안 안착 지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여신심사 강화 △주가조작 및 독점 지위 남용에 대한 엄정 대응을 주요 과제로 지목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