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 준비 첫 출근길에서 “여가부를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개편해 부처 위상을 강화하고 ‘힘 있는 성평등가족부’를 만들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원 후보자는 18일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서대문구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으로 출근하면서 여가부에 가장 시급한 과제를 ‘여가부의 안정화’라고 답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를 기반으로 교제 폭력 ·디지털 성폭력·성매매 등 여성 폭력과 노동시장의 성차별 해소, 청소년 지원 등 정책 동력을 확보한다는 설명이다.
원 후보자는 윤석열 정부 공약이었던 ‘여성가족부 폐지’로 인해 부처가 위태로웠던 상황을 언급했다. 지난해 2월 김현숙 전 장관이 사임한 이후 여가부는 1년 6개월간 ‘장관 공백’ 사태가 이어진 바 있다. 원 후보자는 “존폐 논란과 장기간의 장관 부재로 정책 추진 동력이 약화되지 않았을까 우려된다”면서 “여가부만이 할 수 있는 섬세한 지원과 정책이 닿아야 하는 곳이 늘어나는데 이를 국정과제화하고 강력히 추진할 수 있는 리더십이 부재했다는 사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한국의 성평등 수준에 대해서는 “여전히 성별 격차가 크다”고 평가했다. 원 후보자는 “성별 임금 격차와 젠더 폭력에서 느끼는 안정 격차, 돌봄과 가사 노동의 성별 격차, 성평등에 대한 청년 세대 인식 격차 등 아직 격차가 심각하다”며 “다양한 격차 해소에 우선순위를 두고 정책을 추진하고, 다양한 조직 개편·신설도 함께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언급한 ‘남성 차별’에 대해서는 “성별 고정관념으로 겪는 남성의 어려움과 군대 등 한반도 상황으로 인해 겪는 불이익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국가인권위원회 군인권보호위원으로 활동했던 이력을 살려 “군대 내 인권 침해 문제에도 지원을 고민하겠다”고 덧붙였다.
민변 여성인권위원장 출신으로 현장에서 성폭력·여성 인권 지원을 이어온 원 후보자는 시민사회·다른 부처와의 소통도 강조했다. 원 후보자는 “제가 법정에서, 때로 거리에서 만난 수많은 약자들의 삶이 저를 이 자리에 세웠다고 생각한다”면서 “제게 기대되는 역할은 20여 년 간의 현장 경험과 소통이라고 생각한다. 여가부는 정부 내에서도 타 부처와의 긴밀한 소통이 중요하기에 소통에 적극적으로 임하겠다”고 밝혔다.
강간죄 구성요건 개정과 포괄적 차별금지법·생활동반자법 제정 등 여성계·진보 시민단체가 추진 중인 의제에 대해서는 “반대 의견을 포함해 현장·전문가·관련 부처와 논의할 수 있는 공론장을 만들겠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