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자원공사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손잡고 소양강댐 상류에 습지를 조성한다. MS의 주력 사업인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 등에 많은 물이 쓰이는 상황에서 습지를 만들어 환경 보전에 힘쓰겠다는 복안이다.
수자원공사는 19일 “MS의 국내 첫 물 복원 파트너로 선정돼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 가능한 물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글로벌 협력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양 사는 사용한 물보다 더 많은 물을 자연으로 환원 또는 재이용하도록 하는 이른바 ‘워터 포지티브(Water Positive)’ 달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글로벌 빅테크들은 최근 생성형 AI 이용 급증에 따른 데이터센터 과열 문제로 막대한 양의 물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물 복원 활동도 활발히 펼치고 있다. MS는 2030년까지 모든 글로벌 사업장에서 워터 포지티브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양 사는 이번 협약의 첫 사업으로 강원도 춘천시 소양강댐 상류 지역에 인공 습지를 조성해 댐으로 유입되는 하천 수질 개선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댐으로 유입되는 출처 불명의 오염 물질 등을 30%가량 저감해 연간 약 34만 톤의 물을 복원하는 효과를 만들어낼 계획이다. 습지 조성과 유지 비용은 MS가 부담하며 수자원공사는 습지 설계 및 사업 실행을 담당한다.
윤석대 수자원공사 사장은 “이번 협약은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물을 환원하고 기술 성장 및 환경 보전이 함께 이뤄지는 하나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