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생존 위기에 처한 국내 석유화학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에 착수했다. 중국과의 경쟁에서 밀린 대표적 범용 제품인 나프타분해시설(NCC)의 설비용량을 최대 25% 감축하고 석유화학 기업에 대한 채권단 협약을 체결하는 방안도 논의하기로 했다. 채권단 협약이 체결되면 기업들은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등의 혜택을 받는 대신 사실상 워크아웃(기업 개선 작업) 체제로 돌입하게 된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위기 극복의 해답은 과잉 설비 감축”이라며 “기업과 대주주가 뼈를 깎는 자구 노력을 토대로 구속력 있는 사업 재편 및 경쟁력 강화 계획을 빠르게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등도 참석했다.
정부는 우선 국내 NCC 설비용량을 최대 370만 톤 줄이라는 목표치를 제시했다. 현재 울산에 건설 중인 S-OIL의 ‘샤힌 프로젝트’의 설비용량까지 더하면 국내 총생산능력은 1470만 톤인데 이 중 최대 25%를 절감하겠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주요 10개 석유화학 기업이 참여하는 사업 재편 협약이 체결됐으며 각 기업들은 최대 370만 톤 규모의 설비 감축을 목표로 구체적 사업 재편 계획을 연말까지 제출해야 한다.
산업부는 이와 함께 범용 제품의 고부가가치 품목 전환 확대와 석유화학 업계 재무 건전성 확보, 석유화학단지 입주 지역 경제 악영향 최소화를 구조 개편의 기본 방향으로 삼기로 했다. 기업이 먼저 사업 재편안을 제시하면 정부가 이를 검토한 뒤 맞춤형 패키지 지원안을 제공하겠다는 의미다.
금융 당국도 석유화학 업종 구조조정을 지원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금융위는 21일 5대 은행과 국책은행장들을 소집해 석유화학 업종에 대한 금융 지원 방안 및 워크아웃 방안 등을 협의할 예정이다. 현재 주요 석유화학 기업에 대한 금융권 익스포저는 30조 원대에 달한다. 김 장관은 “구조 개편에 무임승차하려는 기업에는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거듭 경고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