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21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 “한국 국민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전 정권 합의”라면서도 “국가 간 약속이므로 뒤집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위안부 문제는 2015년 박근혜 전 대통령이, 강제징용 문제는 2023년 윤석열 전 대통령이 해법을 마련하겠다며 일본 정부와 합의안을 마련했다. 현 여권은 두 합의안에 반대해왔지만 이 대통령은 국가 간 합의이니 이어갈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보도된 일본 요미우리신문과 인터뷰에서 "정책의 일관성과 국가 대외 신뢰를 고려하면서, 동시에 국민·피해자·유족의 입장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하는 두 가지 책임을 동시에 짊어지고 있다"며 한국과 일본이 "더 인간적인 관점"에서 논의를 진행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한일 역사 갈등에 대해 "가능한 한 현실을 인정하고, 서로 이해하려고 노력하며, 대립적이지 않도록 하면서 해결해 나가면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사과는 상대의 다친 마음이 치유될 때까지 진심으로 하는 게 옳다”고 부연했다.
일본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이 대통령은 "매우 중요한 존재"라면서 "한국도 일본에 유익한 존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쌍방에 이익이 되는 길을 발굴해 협력할 수 있는 분야를 넓혀 나가야 한다"고 했다. 특히 한일 관계가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관계로 대전환되기를 바라는 한편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잇고, 이를 넘어서는 미래지향적 한일관계를 만들고자 한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는 지혜'를 발휘하고자 한다"고 했다.
'일본의 입장에서는 북한의 핵 개발은 가장 큰 위협이며 북·미 대화가 북한의 핵을 용인하는 방향으로 가면 좋지 않다고 보는데 어떻게 생각하냐'라는 질문에 이 대통령은 "1단계는 핵과 미사일 동결, 2단계는 축소, 3단계는 비핵화"라고 단계별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정책적 방향은 한반도의 비핵화"라고 강조했다.
남북관계에 대해서는 대결보다는 평화적으로 공존하고 서로 인정하고 존중하는 공동 번영의 길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은 대한민국에도 중요하지만 일본, 중국, 러시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며 "우리가 한발 앞서서 문을 열고, 대화를 위해 노력하고 협력할 수 있는 길을 찾아내고, 적대감을 완화해 나가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북극항로 개척'이라는 새로운 아이템을 중심으로 미국, 러시아, 북한, 한국, 일본이 협력할 수 있는 길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고 자신했다.
이 대통령은 또 "한일 간에 안보 측면에서도 협력을 심화하고 한·미·일 공조 또한 지속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는 3국 국민의 안전과 국익을 지키고, 한반도 및 동북아 평화·안정을 위해 중요한 과제"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중국, 러시아, 북한과의 관계 관리도 중요하고 이를 위해서도 한미, 한일, 한·미·일 협력은 든든한 토대가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대통령은 오는 23~24일 취임 후 처음으로 일본을 방문하고,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