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자해·자살 시도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 10명 중 4명이 10~20대 청소년·청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자해·자살 시도 중 1020세대 비중은 10년 만에 2배 가까이 늘었다. 국민 전체는 물론 청소년·청년층에 대한 정신건강 관리와 사회적 대응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질병관리청이 28일 발표한 ‘2024 손상유형 및 원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응급실을 찾은 전체 손상환자 중 자해·자살 환자 비율은 8.0%로 2014년 2.2%에서 10년 만에 3.6배 늘었다. 전체 손상 환자들 중 자해·자살과 폭력·타살 등 의도적 손상 비율은 11.1%로 조사 이래 가장 높았다.
특히 10~20대의 자해·자살 시도 비중이 크게 늘었다. 2014년 26.7%였던 1020세대 자해·자살 시도 비중이 지난해 39.4%로 12.7%포인트 뛰었다. 자해·자살 시도 이유는 우울증 등 정신건강 문제가 45.6%로 가장 많았고, 시도한 장소는 주로 집(84.1%)인 것으로 집계됐다. 방법으로는 중독이 67.4%로 가장 많았고, 원인 물질로는 진정제·항정신병약·수면제·진통제·항류마티스제·항우울제 등 치료약물이 91.1%를 차지했다.
전문가들은 청소년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정신건강 악화를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고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한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청소년기 자해·자살 증가는 단순한 통계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직면한 심각한 과제”라며 “자살예방 정책 강화와 가정 내 약물 안전관리 등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