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당시 국내 첫 노사상생형 일자리 모델로 탄생한 광주글로벌모터스(GGM)의 노사 갈등이 장기화 되고 있는 가운데 사측이 노조 측의 불법행위에 대한 유감을 표명하며 경찰에 고소했다.
GGM은 29일 고소장을 통해 “지난 22일 공장에서 손팻말을 들고 조합원들이 시위하는 과정에서 출입문이 휘어지면서 파손됐다”며 “노조 간부 3명, 조합원 22명은 사측의 정당한 업무를 방해했다”고 주장했다.
GGM은 전날 전남 함평경찰서에 전국금속노동조합 광주전남지부 소속 조합원 25명을 경찰에 고소했다, 고발 사유는 업무방해·기물파손·건조물침입 등 3가지다. 노조의 불법행위에 대한 영상 등 증거물은 확보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반면 노조도 시민사회단체 공동 기자회견에서 “노조 지회장을 상대로 한 사내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며 “노동자의 생명과 존엄을 짓밟은 중대한 사건이자 광주의 이름으로 추진된 상생형 일자리의 취지를 정면 부정하는 행위”라며 사측과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광주시의회에서는 GGM 노사 갈등과 관련해 광주시의 적극적인 중재를 촉구하고 나섰다. 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는 지난 27일 성명서를 통해 “최근 GGM에서 불거진 임금 및 노동조건 관련 갈등이 1960억 원 규모의 대출금 조기 상환 논란으로까지 번지면서 기업의 존립 자체가 위협받고 있다”며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 광주형 일자리 자체가 붕괴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태가 단순히 회사 내부 문제가 아니라 지역 경제 전체와 청년 일자리 안정성에 심각한 타격을 줄 것”이라며 “광주시가 제1대 주주로서 책임 있는 중재자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