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중소기업중앙회를 찾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갑질 관계 등 불공정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정 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김기문 회장 등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한정애 정책위의장과 국회 산자중기위 간사인 김원이 의원, 경제형벌민사책임합리화TF 단장인 권칠승 의원 등이 동행했다.
김 회장은 정 대표에게 “노사가 힘을 모아 경제를 살려야 하는데 노란봉투법이 시행되기도 전부터 강성 노조가 중소기업 사장을 패싱하고, 진짜 사장 나오라며 협상하자고 하는 해프닝이 일어나고 있다”며 “중소기업 제조업은 50% 가까이가 원하청 구조다 보니 걱정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김 회장은 “근로자 보호라는 취지를 살리면서도, 중소기업이 노조의 무분별한 요구에 휘말리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달라”고 요청했다.
김 회장은 또 “최근 상호관세는 정부가 잘 해결해 15%로 정리됐지만, 철강·알루미늄은 아직도 50% 관세를 부과하며 지난 달 관련 제품의 미국 수출이 역대 최대 감소했다”며 “이 문제를 우리나라가 가장 먼저 해결했으면 하는 것이 중기중앙회의 간절한 바람”이라고 당부했다.
이에 정 대표는 “관세 여파로 많은 어려움와 애로사항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인들의 지혜로 안간힘을 쓰며 극복하는 과정”이라며 “중국의 저가 공세 등은 중소기업인들만의 노력으로 극복하기 어려운 부분이니, 정부와 여당에서 함께 지혜를 모아 고민해 보는 시간이 됐으면 한다”고 화답했다.
정 대표는 또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불공정 관계 개선에 힘쓰겠다고 공언했다. 그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갑질 관계, 하도급 관계, 기술 탈취나 위·수탁 관리 과정 속에서의 불공정을 개선하고자 많이 노력하겠다”며 “내년도 예산도 중소기업에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기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인 16조 8000억 원을 편성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정 대표는 중기중앙회에 산재 예방에 각별히 신경 쓸 것을 주문했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이 누차 강조하고 있는 것이 ‘산재 없는 노동 현장’”이라며 “돈 때문에 사전 조치, 안전 장치를 안 해서 일하러 간 일터에서 사람이 죽어나가는 일만은 막아야 한다는 것을 자주 강조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부분을 다들 각별히 신경 써 달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