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전쟁을 끝내고 국경선에 완충지대를 설정하는 방안이 거론되는 가운데 미국이 이 지역 감시를 주도할 수 있다는 언급이 나왔다. 러시아의 반발을 고려해 실무 인력은 북태평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이 아닌 나라의 병력을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NBC뉴스는 5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이 우크라이나 종전시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이같은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유럽의 나토 회원국들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사이에 40km 규모의 완충공간을 설정하는 방안을 주장하고 있는데 이같은 공간이 설정되면 미국이 드론과 위성을 통해 완충지대를 충분히 감시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러시아가 나토군의 주둔을 반대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 사우디아라비아, 방글라데시와 같은 제3국 병력이 이 지역에 주둔하는 방식을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같은 구상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평화 협정을 체결해야 시행할 수 있다.
러시아는 제3국 군대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완충지대에서 활동하는 안에도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를 위한 안전보장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크라이나 역시 완충지대 설치에 부정적이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완충지대 설치가 곧 영토 포기를 의미하는 것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캐롤라인 래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 결정권자”라면서 논의 중인 우크라이나-러시아 완충지역 안전보장 대책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삼갔다. 댄 케인 미국 합동참모본부 의장은 8월 중순께 열린 미·러 정상회담 직후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우크라이나 안전보장 방안 4가지를 브리핑하며 ‘가장 진취적인 방안’을 권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미국은 약 1000억 달러 규모의 우크라이나 군 지원 방안을 검토 중이다.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제공하는 대신 우크라이나가 가진 첨단 무기 시스템의 지식재산권을 미국이 가지는 방식의 지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