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강남 3구와 용산구 등 규제 지역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을 50%에서 40%로 하향 조정하면서 12억~15억 원 사이의 시세가 형성된 송파구 장지동 등 위례신도시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강남구의 세곡·자곡동, 용산 효창동 등이 직격탄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LTV 강화를 통해 강남 3구와 용산 핵심 지역의 가격 상승 흐름이 한강 벨트를 따라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한 저지선을 설정한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9·7 부동산 대책을 지켜본 후 부동산 시장이 가라앉지 않을 경우 마포와 성동, 강동과 동작구 등으로 규제 지역을 확대 지정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8일 금융 당국에 따르면 규제 지역의 LTV가 40%로 내려가면서 대출 한도의 변화가 생기는 구간은 12억~15억 원 사이의 아파트다. 12억~15억 원 사이의 아파트의 경우 LTV 50%일 때는 주담대 최대한도인 6억 원의 대출이 가능했지만, 40% 적용 시 대출 가능 금액이 4억 8000만~6억 원 미만으로 낮아지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통해 6·27 부동산 대책 이후 9월 7일까지 거래된 12억~15억 원 사이의 서울 아파트 거래를 전수 분석한 결과 총 1013건 중 규제 지역인 강남 3구와 용산구가 225건으로 22.2%에 달했다. 이 중 송파구가 106건으로 가장 많은 가운데 △강남구(48) △서초구(40) △용산구(31) 등이 뒤를 이었다.
동별로 보면 송파의 경우 가락동과 위례신도시가 위치한 장지동을 합해 63건에 달했다. 강남구의 경우 세곡동과 자곡동이 24곳에 달했다. 이들 지역은 평균 매매가격이 20억 원 이상인 강남 3구와 용산구 주요 단지에서 벗어난 외곽 지역이다.
이를 두고 강남 3구와 용산 주요 단지에서 외곽 지역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퍼져나가는 것을 막으려는 의도가 담겨 있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강남 3구와 용산의 선도 단지는 대출 규제와 상관없이 움직인다”며 “12억~15억 원에 매물이 형성된 사실상 외곽 지역을 겨냥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LTV 하향 조정이 마포와 성동, 동작과 강동구 등으로 규제 지역을 확대하려는 정부의 시그널이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12억~15억 원 아파트 거래 건수는 송파구 다음으로 △동작(93) △성동(90) △강동(89) △마포(73)가 뒤를 이었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도 “LTV 하향 조정은 추가 규제 지역 확대를 감안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