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가 대표 인공지능(AI) 모델 개발을 지원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서울 중구 르메르디앙 서울 명동에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박윤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원장과 함께 5개 사업자 대표인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유영상 SKT 대표, 임우형 LG AI연구원장, 이연수 NC AI 대표,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 등이 참석했다.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는 그래픽처리장치(GPU)와 학습용 데이터, 인재 등 정부 지원을 집중적으로 받아 글로벌 빅테크에 맞먹는 국가 대표 AI 모델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프로젝트는 연말 1차 단계평가를 통해 4개 팀으로 압축된다. 국민·전문가 평가, 벤치마크 등 기반 검증평가, 파생 AI 모델 수 평가 등은 물론 대국민 컨테스트도 마련될 예정이다.
배 장관은 “글로벌 파급력있는 AI 모델 개발을 목표로 정예팀이 하나가 되어 역량을 집중하길 바란다”며 “AI 모델 개발에서 나아가 우리나라 AI 생태계의 성장과 확장, ‘모두의 AI’를 향한 더 큰 도전에 임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사업자들도 이에 화답했다. 김유원 대표는 “국가대표 AI 정예팀으로서 ‘AI 주권 확립’이라는 무거운 사명감을 갖고 대한민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가장 잘 이해하는 AI를 만들겠다”고, 김성훈 대표는 “국가대표 AI 정예팀 내 유일한 스타트업 컨소시엄으로서 그동안 글로벌에서 인정받은 기술력과 실행력을 바탕으로 글로벌에서 한국 AI 기술 주도권을 반드시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 대표는 “국가대표 AI 기업이라는 사명감으로 국민 일상 속 AI를 위한 최고 수준의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겠다”고, 이 대표도 “산업현장의 AI 전환을 가속할 수 있는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확보해 대한민국의 AI 기술 자립과 혁신을 선도하겠다”고 했다. 임 원장은 “우리나라 AI 미래를 책임진다는 사명감으로 결연한 의지를 갖고 국민들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결과를 만들겠다”고 답했다.
참석자들은 최고급 독자 AI 모델 개발 도전 계획, 단계평가 추진방안, 공공·경제·사회 등 전 분야 AX(AI 전환) 혁신 지원방안, ‘모두의 AI’ 생태계 기여 방안, 글로벌 파급력 확산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국가 대표 AI를 뜻하는 ‘K-AI’ 앰블럼 수여도 진행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