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9일 DMZ와 접경지에 대규모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평화에너지 프로젝트' 등 3개 평화전략을 제시했다.
김 지사는 이날 파주 캠프 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식' 기념사에서 "이재명 국민주권정부가 열어갈 한반도 평화 번영의 길을 경기도가 가장 굳건히 뒷받침하겠다"며 이 같이 제안했다.
평화에너지 프로젝트는 DMZ와 접경지에 대규모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사업이다. 문재인 정부의 'DMZ 내 솔라파크' 조성 방안과 최근 기본사회지방정부협의회가 중앙정부에 건의한 'DMZ 평화에너지벨트 구축' 방안을 구체화한 것이다.
DMZ 내 솔라파크는 DMZ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 단지를 조성해 북한의 전력난을 해소하면서 동시에 대한민국의 탈원전 정책 현실화에 기여하자는 제안이다. DMZ 평화에너지벨트 구축은 민통선 및 DMZ 인접 지역에 태양광·풍력 등의 친환경에너지 인프라를 구축해 남북한 공동 에너지 자립체계를 만드는 구상에서 비롯됐다.
김 지사는 이어 ‘경기북부 평화경제특구 내 기후테크 클러스터 구축’ 전략도 제시했다. 평화경제특구에 기후테크 스타트업과 유망기업을 육성해 경기북부를 대한민국 기후경제의 선도지역으로 만들자는 내용이다.
김 지사는 마지막으로 경기도가 도내 반환공여지 22곳의 교통인프라를 확충하고 규제 완화에 노력하겠다는 내용의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도 제안했다.
김 지사는 "9.19 평양공동선언이야말로 남북 교류 협력을 촉진하는 가장 구체적인 경제 선언이며 9·19 군사합의는 군사 충돌을 방지하는 가장 실질적인 평화 선언"이라며 평가하며 "9·19 선언을 이정표 삼아 평화경제의 길을 열어가고 긴장의 땅을 성장의 땅으로 만들어가자"고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피스메이커가 되어 달라고 요청했고, 자신은 그 길을 함께 열어가는 페이스메이커가 되고 싶다고 했다”면서 “연내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고 싶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사표시와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에 대한 공감대를 함께 이끌어낸 탁월한 제안이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김정은 위원장을 연내에 만나고 싶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 대화 의지를 환영하며 빠른 시일 내에 성사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결단이 지금 이 시기에도 한반도 평화의 열쇠가 될 수 있다. 김 위원장의 용기 있는 결단을 다시 한번 보여주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기념식에는 우원식 국회의장과 문희상 전 국회의장, 정청래 대표를 비롯한 민주당 의원 20여 명,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정동영 통일부장관과 정세현-이재정-김연철 전 통일부장관 등 역대정부의 통일정책 수장이 한 자리에 모여 김 지사와 함께 한반도 평화를 주제로 특별토론을 했다.
이날 행사는 경기도와 통일부, 민주정부 한반도평화 계승발전협의회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이 후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