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대학 수시모집에서 지방대 지원자가 전년 대비 10%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불황과 대학 입시 불확실성 때문에 지방권 학생들이 집 근처 대학을 선호하고 안정적인 지원을 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21일 종로학원 발표에 따르면, 전국 192개 대학의 2026학년도 수시모집 평균 경쟁률은 9.77 대 1로, 지난해 9.42 대 1보다 소폭 상승했다. 모집인원 26만 157명에 254만 645명이 지원했다.
지역별로는 지방권 110개 대학 지원자가 전년 대비 10만4272명(10.2%) 증가했다. △대구·경북권 12.4% △강원권 11.7% △충청권 10.6% △호남권 9.8% △부산·울산·경남권 8.0% △제주 7.8% 등 대부분 지역에서 지원자가 늘었다.
반면 서울권 42개 대학 지원자는 1만 8818명(2.1%) 증가에 그쳤고, 경인권 40개 대학 지원자는 511명(0.1%) 증가에 불과했다.
평균 경쟁률은 △서울권 18.83 대 1 △경인권 13.02 대 1 △지방권 6.49 대 1로 집계됐다. 지방권에서 경쟁률 6 대 1 미만 대학 수는 전년도 68개대에서 53개대로 줄었고, 94개 대학은 지원자가 증가했다.
지방권 대학 중 평균 경쟁률이 가장 높은 곳은 경북대로 14.51 대 1이었다. 이어 △단국대(천안) 11.1 대 1 △충북대 10.90 대 1 △건국대(글로컬) 10.59 대 1 △연세대(미래) 10.48 대 1 순이었다.
자연계열에서는 아주대 약학과 논술우수자 전형이 708.2 대 1로 경쟁률이 가장 높았고, 인문계열에서는 국민대 경영학부 논술전형이 321.6 대 1로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다만 전국적으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곳은 대부분 서울 소재 대학이다. 성균관대가 32.49대 1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으며 △한양대 30.99대 1 △중앙대 30.39대 1 △서강대 28.83대 1 △건국대 25.81대 1 △경희대 25.27대 1 △국민대 23.84대 1 순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경기 불황으로 지방권 학생들이 무리하게 서울·경인권 대학으로 유학하기보다는 지방권 대학에 머무르는 경향이 나타났다”며 “의대 모집정원 축소, 탐구과목 변동 등 입시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안정 지원 추세가 강화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