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3일 “부동산에 묶인 자금을 다양한 연금·신탁상품으로 유동화해 소비나 투자로 연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이날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금융연구원·자본시장연구원 등 7개 연구기관장과의 간담회를 열고 “금융권이 기존 역할을 넘어 고령화라는 사회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할 시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원장은 부동산에 묶여있는 자금을 소비, 투자, 복지와 연결해 성장과 후생을 높여야 한다고 했다. 그는 “가계 자산의 64%가 부동산인 상황에서 은퇴시 현금이 부족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며 “고령화에 따른 건강관리 수요를 주거와 결합한 노인복지주택 사업을 확대하고, 이를 리츠 등 자본시장 투자와 연계하면 자본시장 성장과 복지 증진 모두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또한 “지금 글로벌 경제는 예측 불가능성의 시대로 진입하는 ‘피보탈 모먼트’를 지나고 있다”며 “금융권이 생산성이 높은 부문을 선별해 자금을 공급하면서 경제 혈맥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금감원도 부동산에 쏠린 자금이 혁신 성장 부문으로 공급될 수 있게 제도를 개선하겠다”며 “금융권도 관행을 벗어나 기업의 성장 단계별 위험을 관리하며 필요 자금을 적기에 충분히 공급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