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27일 오후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인한 행정전산망 장애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정부는 이날 중 항온항습기를 복구하고, 28일까지 네트워크 장비를 정상화해 국민 생활·경제와 직결되는 주요 서비스부터 순차적으로 정상화하는 것이 목표로 삼고 있다.
중대본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교육부 등 장애 시스템을 소관하는 부처와 함께 대응하고 있으며, 상황총괄반·업무연속성반·장애조치반 등을 두어 현장 상황 파악과 장애 조치에 집중하고 있다.
화재가 난 배터리 배출이 진행되면서 복구에도 진척을 보이고 있다.
항온항습기와 네트워크 장비가 순차적으로 복구되면 정보시스템을 안전하게 보전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가동을 중단시킨 행정정보시스템의 재가동 여부를 확인할 방침이다.
복구는 화재 피해를 보지 않은 시스템부터 진행된다.
국민 안전과 재산,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이 최우선으로 재가동되며, 시스템 중요도 등 등급에 따라 우선순위를 두고 복구할 예정이다.
한편 행안부는 이번 화재로 직접 피해를 입은 시스템을 1등급 12개, 2등급 58개 등 70개로 발표했으나, 정밀 점검 결과 96개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현재 물리적 손상을 입은 7-1전산실 내 96개 시스템은 국정자원 내 가용 자원을 활용해 이전 복구를 검토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