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코스닥 시장에 신규 상장되는 기업 수가 평년의 반 토막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경제신문 29일자 1면 보도에 따르면 올 들어 코스닥 시장에 새롭게 진입한 기업은 58개에 불과하다. 28일 기준 상장 예비 심사를 통과하고 상장 절차를 밟고 있는 기업 7곳을 합쳐도 지난해 110개의 절반 수준이다. 혁신 기술 기업의 주요 자금 조달 창구인 코스닥 시장에 신규 진출한 기업은 2022년 111개, 2023년에도 114개를 기록했지만 올해는 연말까지도 100개를 밑돌며 2017년(74개) 이후 최저 수준에 머물 가능성이 커 보인다.
코스닥 상장이 급격히 위축된 주된 원인으로는 기업공개(IPO) 규제 강화와 한국거래소의 까다로운 심사 기준 등이 꼽힌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혁신적인 신기술로 무장한 유망 기업이 규모를 키우고 발전해나갈 성장 생태계가 위축되고 있다는 데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기술 기반 창업은 전년 대비 3.1% 줄었고 벤처 투자액은 5조 6780억 원으로 이전 고점인 2022년(7조 6442억 원)보다 크게 감소한 상태다. 게다가 기업들을 촘촘하게 옭아매는 규제는 기업의 도전과 성장 의지마저 꺾어버리고 있다. 국내 스타트업 3곳 중 2곳이 규제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할 정도다. 투자 부족과 낡은 규제에 혁신 기업의 씨가 마르는 사이 한계기업은 급증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10년간 우리 경제에서 성장 사다리에 오른 중소·중견기업이 줄고 ‘좀비 기업’ 비중이 17.1%까지 치솟는 등 기업 성장 생태계가 ‘축소 지향’으로 변화했다고 지적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달 17일 “스타트업이 미래 성장을 주도하는 ‘제3의 벤처 붐’ 시대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내년 창업·벤처 예산안도 ‘벤처 투자 40조 원’ 공약에 걸맞게 올해보다 23%나 늘었다. 충분한 투자 자금은 기업 생존과 성장의 필수 조건이다. 하지만 그것이 전부가 아니다. 과감한 개혁으로 ‘거미줄 규제’와 경직된 노동정책, 낡은 산업구조에서 탈피하고 혁신과 도전이 보상받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한다면 미래 국가 경쟁력이 달린 신산업 생태계의 붕괴를 막을 수 없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