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20대의 실질소득이 전 세대 중 가장 적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비정규직 확대와 외식비 급등이 맞물리며 20대의 체감 살림살이는 더 나빠졌다는 분석이다.
29일 한국경제인협회는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대의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평균 1.9%에 그쳤다.
실질소득은 명목소득에서 물가 변동을 반영한 지표로 임금이 늘더라도 물가 상승률이 이를 상쇄하면 생활 수준은 개선되지 않는다. 예컨대 연봉이 3% 올라도 물가가 3% 오르면 실질소득은 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실질소득 증가율은 국민의 실제 구매력과 체감 경기 수준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로 꼽힌다.
세대별 연평균 실질소득 증가율은 30는 대 3.1%, 40대 2.1%, 50대 2.2%, 60대 이상 5.2%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1%대는 20대가 유일했다. 특히 20대의 실질소득 증가율은 2014~2019년 연평균 2.6%에서 2019~2024년 1.1%로 더 낮아졌다.
20대 소득 개선의 발목을 잡은 것은 고용의 질 악화였다. 20대의 근로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전 세대 중 가장 낮았다. 같은 기간 20대 실업률은 9.0%에서 5.8%로 낮아져 고용의 양적 개선은 이뤄졌지만 비정규직 비율은 11.1%포인트 상승했다.
외식비 상승도 영향을 미쳤다. 20대의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014~2019년 연평균 3.8%에서 2019~2024년 4.0%로 다소 개선됐지만 체감물가 상승률은 연 1.1%에서 2.8%로 급등했다. 특히 지출 비중이 가장 높은 음식·숙박비가 크게 오르면서 실질소득 증가율은 오히려 떨어졌다.
협회 관계자는 “고용훈련과 기업의 양질 일자리 창출 여력을 확대하는 등 고용의 질적 제고를 위한 정책 다변화가 필요하다”며 “식재료비 부담 완화와 유통 효율화 등을 통해 외식 물가 안정도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