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부동산 대책 시행 후 두 달 만에 전국 아파트 전세 시장이 얼어붙었다. 새로 집을 구하는 전세계약은 1년 전보다 30% 가까이 줄었고 신규 세입자는 갱신 계약한 이들보다 8% 가까이 비싼 전세금을 내야 했다.
2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2025년 7~8월 전국 아파트 신규 전세계약 건수는 5만 5368건으로 집계됐다. 전년 같은 기간(7만 7508건)보다 28.6% 감소했다.
전세 시장 전체 규모도 줄었다. 7~8월 전국 아파트 전세계약(신규+갱신)은 총 8만 9220건으로, 전년 동기(10만 4869건)보다 15% 줄었다. 2023년(11만 4361건)과 비교하면 22% 감소다.
새로이 전세로 진입하려는 수요가 특히 막혔다. 신규 계약 건수는 전국적으로 28.6% 급감했고, 수도권의 감소세가 특히 심각했다. 경기도는 33.4%(2만 6495건→1만 7644건), 서울은 30.4%(1만 7396건→1만 2108건) 줄었다.
신규 계약자의 ‘전세 입장료’도 커졌다. 같은 단지·면적에서 신규 계약과 갱신 계약을 비교한 결과, 신규 계약 전세금은 갱신 계약보다 평균 7.9% 높았다. 불과 1년 전(1.7%)과 비교하면 4배 이상 격차가 커졌다.
신규 계약은 크게 줄었지만, 기존 거주지를 지키려는 갱신 계약은 오히려 늘었다. 갱신 계약은 3만 3852건으로 전년보다 23.7% 증가했으며, 이 중 갱신요구권을 행사한 계약은 1만 7477건으로 무려 83.2% 폭증했다. 전세 매물이 부족해지면서 임차인들이 법적 권리를 활용하는 현상이 뚜렷해졌다.
전세 매물 부족은 월세 시장을 키우는 풍선 효과로 이어졌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월세 계약은 8만 2615건으로 전년보다 4.2% 증가했다. 갱신 계약이 8.7%, 신규 계약이 2.6% 늘어 전세 불안이 월세 전반으로 번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6·27 대책이 갭투자 수요를 억제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그 여파가 전세 공급 부족으로 이어져 신규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이 심각해졌다”며 “기존 세입자와 신규 세입자 간 격차가 커지면서 임대차 시장의 이중 구조가 고착화될 우려가 있다. 별도의 전세 공급 안정책이 동반되지 않으면 불안은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