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는 김대현 제2차관이 2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을 방문해 외국인 관광객 수용태세를 점검하고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고 밝혔다.
문체부에 따르면 이번 점검은 K콘텐츠 열풍과 중국인 단체관광객 대상 무사증 시행 등에 따라 방한 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관광객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바가지 요금과 혐중 시위 등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됨에 따라 정부가 직접 나서 현장을 점검하고 대응책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전국으로 생중계된 지난 9일 국무회의에서 명동 등의 ‘혐중 시위’에 대해 “그게 무슨 표현의 자유냐. 깽판이다. 그러면 안 된다”며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안을 검토하라고 주문한 바 있다.
이날 김대현 차관은 중구청과 명동 관광특구협의회, 명동 상인회 관계자 등과 함께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 업소를 방문해 바가지요금 예방을 위한 가격 표시제 이행 및 품질관리 서비스 등 관광 활동에 따른 불편 사항을 중점적으로 살피고, 다국어 안내 체계, 쇼핑 결제 편의 등 관광수용태세를 점검했다.
또 최근 외국인 관광객 불편을 가중하는 혐중 시위로 인한 상인들의 피해 사례를 청취하고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바가지요금 문제 해결을 위한 업계의 자정 노력 등도 당부했다. 이어 롯데면세점을 방문해 중국인 단체관광객 대상 무사증 시행에 대한 방문객 동향을 파악하고 면세점업계의 애로사항을 들었다.
김대현 차관은 “명동은 대한민국 방한 관광의 상징적 공간인 만큼, 명동특구협의회, 상인회 관계자들이 외국인 관광객을 환대하고, 바가지요금 등 불편 사항을 개선하는 데 앞장서 주기 바란다”며 “문체부도 3000만 외래관광객 유치를 목표로, 대한민국이 세계 관광대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관광객이 안심하고 즐길 수 있는 관광환경을 만드는 데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겠다”라고 말했다고 문체부는 전했다.
한편, 문체부는 행정안전부와 함께 ‘APEC 정상회의’와 가을 단풍 행락철 등을 앞두고 바가지요금을 근절하기 위해 합동점검반을 구성(9월 29일~11월 1일), 숙박요금표 게시 여부 등 불공정 행위를 집중 점검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