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 정부의 일시 업무정지(셧다운)로 9월 고용보고서 등 주요 지표 발표가 전격 연기된 가운데 뉴욕 3대 증시가 혼조로 마감했다.
3일(현지 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38.56포인트(0.51%) 상승한 4만 6758.2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44포인트(0.01%) 오른 6715.79, 나스닥종합지수는 63.54포인트(0.28%) 내린 2만 2780.51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3대 지수는 장 초반 나란히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할 정도로 강세로 출발했다가 장 막판 인공지능(AI) 관련주를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진 탓에 오름폭을 반납했다.
시가총액 상위 기술주 가운데서는 엔비디아가 0.67% 하락한 것을 비롯해 아마존(-1.30%), 메타(-2.27%), 구글 모회사 알파벳(-0.14%), 테슬라(1.42%), 넷플릭스(-0.79%) 등 상당수가 하락세를 보였다. 마이크로소프트(-0.31%), 애플(0.35%), 브로드컴(0.06%) 등은 상승했다.
이날은 셧다운 지속으로 9월 비농업 고용 보고서 발표가 연기됐다. 주요 경제 지표를 집계하는 노동부 노동통계국(BLS)과 상무부 경제분석국(BEA) 등의 업무도 중단된 까닭이다. 고용보고서는 물가지수와 함께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결정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비표다. 연준은 지난달 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때도 7~8월 고용 통계 악화를 근거로 9개월 만에 0.25%포인트 금리 인하를 결정했다. 이날 미국 여야 임시예산안은 또 다시 연방 상원 문턱을 넘지 못했고 셧다운 사태는 다음 주까지 이어지게 됐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9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0.0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8월의 52.0에서 2.0포인트 하락한 수치이고 시장 예상치 51.7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S&P 글로벌의 9월 서비스업 PMI 확정치는 54.2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 53.9를 웃돌았다.
우량주 위주의 다우존스지수의 선방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의 부진은 AI주에 대한 판단 때문에 엇갈렸다. 특히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가 ‘AI 거품론’을 수긍했다는 소식에 나스닥지수는 곧바로 하락 전환했다. 나스닥은 이날 전까지 5거래일 연속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었다.
AFP통신과 CNBC 등에 따르면 베이조스 창업가는 이날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이탈리안 테크 위크’ 행사에서 ‘현재 AI 산업이 거품 상태라는 징후가 있느냐’는 질문에 “일종의 산업적인 거품”이라고 인정했다. 베이조스 창업가는 “주가가 기업의 기초체력(펀더멘털)과 동떨어졌다”며 “사람들이 오늘날 AI에 대해 매우 흥분한다”고 지적했다. 베이조스 창업가는 그러면서 “이런 시기에는 관련된 모든 실험이나 아이디어가 자금을 지원받게 된다”며 “투자자들은 이런 열기 속에서 좋은 아이디어와 나쁜 아이디어를 구분하기 어렵고 아마 지금도 그런 일이 벌어지고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베이조스 창업가는 AI주에 대한 현 거품 현상이 반드시 나쁜 일은 아니라는 입장도 강조했다. 베이조스 창업가는 “지금 벌어지는 일들이 진짜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AI는 실재하고 모든 산업을 바꿀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어 “산업적인 거품은 그리 나쁜 게 아니라 오히려 긍정적일 수 있다”며 “먼지가 가라앉고 승자가 드러나면 사회가 그 발명품의 혜택을 누리기 때문이고 AI가 사회에 주는 혜택은 엄청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엔비디아의 주가는 아랍에미리트(UAE)에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원활하게 공급하지 못하고 있다는 소식이 발목을 잡았다. 미국 상무부는 UAE에 엔비디아의 칩을 받으려면 약속대로 우선 투자하라고 압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팔란티어는 미군에 공급한 통신 시스템에 일부 결함이 노출됐다는 언론 보도 탓에 7.47% 폭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를 향해 가자지구 5일 오후 6시까지 자신의 평화 구상안에 합의하라고 최후통첩을 날린 덕분에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 거래일보다 0.4달러(0.66%) 오른 배럴당 60.8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