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반도체 관세는 한미 합의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우리 정부가 대만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기로 했다고 발표한 것과 미묘한 온도차가 감지된다.
방한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을 수행 중인 러트닉 장관은 30일 X에 “한국이 시장을 완전히 개방하기로 합의했다"며 “100%”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한국에 대한 15%의 상호관세,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대한 15% 관세를 언급하며 “반도체 관세는 이 거래의 일부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러트닉 장관은 “한국이 미국에 35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합의했다”며 “이 투자는 대통령이 직접 지시하고 승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리 정부는 투자위원회 및 협의위원회를 가동해 양국이 투자할 가치가 없는 프로젝트를 걸러내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바 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조선업을 첫 번째 투자 분야로 지정해 미국 내 선박 건조에 1500억달러가 투자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한국의 유수의 조선업체들이 필라델피아에서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하는 것을 (트럼프 대통령이) 승인했다”며 “미국 조선업 재건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러트닉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알래스카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에너지 인프라, 필수 광물, 첨단 제조업, AI 및 양자 컴퓨팅을 포함한 미국에서 건설되는 프로젝트에 2000억달러를 투자(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lassic@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