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새 인기 유튜버들의 수입이 연예인을 능가할 정도로 급증하자 국세청이 고소득 1인 미디어 창작자에 대한 세무조사를 강화하기로 했다.
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연간 1억 원 이상 소득을 올린 1인 미디어 창작자는 2019년 259명에서 2023년 4032명으로 15.6배 늘었다.
같은 기간 종합소득세를 신고한 1인 미디어 창작자도 1327명(2019년)에서 2만4797명(2023년)으로 18.7배 증가했고 총수입은 1조 7861억원으로 17.6배 확대됐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8622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20대 이하(5028억원), 40대(3115억원), 50대(768억원), 60대(329억원) 순이었다.
이렇게 유튜버의 수입이 급증하면서 국세청은 2019년 9월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과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업종코드를 신설했다.
국세청에 따르면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지방국세청이 유튜버 67명을 세무조사해 총 236억 원의 세금을 부과했다. 1인당 평균 부과 세액은 약 3억5000만 원, 지난해에는 평균 4억2000만 원을 넘겼다. 부과 세액 규모도 2019∼2022년 56억 원 → 2023년 91억 원 → 2024년 89억 원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국세청은 올해 11~12월 중에도 사후 점검과 세무조사를 이어갈 계획이다.
최근에는 일부 유튜버의 수입이 유명 연예인을 능가할 정도로 알려지기도 했다. 약 39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영화 리뷰 유튜버 지무비(본명 나현갑)는 서울 용산의 고급 주거단지 ‘나인원한남’에 보증금 77억 원 전세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한때 은행 취업을 준비했으나 최종 면접에서 탈락한 뒤 유튜브를 시작해 “취업하려던 회사의 연봉의 3~4배를 한 달에 번다”고 밝힌 바 있다.
나인원한남은 철저한 보안과 프라이버시로 유명한 단지로, 지드래곤(G-DRAGON), 방탄소년단 RM·지민, 배우 주지훈·이종석 등 국내 정상급 연예인들이 다수 거주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유튜버들의 수입원이 다양해지는 만큼 후원금·협찬 수입 등을 누락한 탈세 사례를 철저히 단속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국세청은 “탈세 혐의가 있으면 조사하는 것이 원칙이며, 관련 조사는 상시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a@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