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39조9046억원 규모의 2026년도 본예산안을 편성해 도의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
이는 올해 본예산 38조7221억원 보다 1조1825억원(3.1%) 늘어난 것이다.
내년도 본예산안은 일반회계 35조5725억원, 특별회계 4조3321억원으로 구성됐다.
세입의 경우 국고보조금(16조4448억원) 등은 일부 증가하지만 지방세(16조633억원)의 경우 부동산 경기 위축 등의 영향으로 422억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자체사업 예산(3조983억원)을 올해보다 7510억원을 축소 편성했다.
다만 지방채를 5447억원 발행해 SOC사업에 사용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올해 2006년 이후 19년 만에 지방채를 발행했는데 2년 연속 지방채 발행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사업별 편성 내용을 살펴보면 민생경제 분야의 경우 858억원을 편성해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운영(3120억원), 경기 살리기 통큰세일(100억원), 소상공인 더 힘내 GO 카드 지원(30억원) 등에 사용하기로 했다.
내년 1월 1일부터 일산대교 통행료 무료화를 추진하기로 하고 관련 사업비의 50%에 해당하는 200억원을 배정한 것이 눈에 띈다.
미래성장 분야는 로봇산업 육성(679억원), RE100 소득마을(128억원), AI 혁신 클러스터 조성(25억원) 등 총 679억원이 반영됐다.
주 4.5일제 시범사업에 201억원을 편성해 기업당 최대 2000만원, 근로자 1인당 월 최대 26만원의 임금보전장려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이밖에 극저신용자 대상 소액금융 지원(30억원), 간병 SOS 프로젝트(21억원) 등 특화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안도 편성됐다.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재정 여건이 녹록지 않지만, 경기 회복과 도민 체감도가 높은 정책 실현을 위해 적극적 재정 역할을 수행하고, 지출구조 개선과 재정투자 효율성 제고를 통해 전략적으로 재원을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본예산안은 4일부터 다음 달 18일까지 열리는 도의회 정례회에서 심의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ds1105@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