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은 그대로인데 용량·구성이 슬그머니 줄거나 소비자 계산 심리를 교묘하게 건드리는 ‘신(新) 물가 전술’이 논란이 되고 있다. 치킨에 이어 길거리 간식까지 이른바 ‘가성비 착시’ 사례가 확산되자 정부와 온라인 모두가 일제히 문제 제기에 나섰다.
정부, 외식 물가 ‘숫자 투명성’ 손본다
정부가 치킨업계에서 가격은 그대로 두고 용량을 줄이는 이른바 ‘슈링크플레이션’을 막기 위한 대책을 이달 말 발표한다. 치킨도 앞으로는 ‘한 마리’가 아니라 고기 중량(g) 표기를 의무화하는 방안이 유력시된다.
농림축산식품등 관계부처는 3일 BBQ·BHC·교촌치킨 등 프랜차이즈 관계자와 간담회를 열고 외식업계의 슈링크플레이션 근절 및 외식물가 안정화 방안을 논의했다. 같은 ‘한 마리’여도 브랜드마다 사용하는 닭 호수가 달라 실제 중량이 30% 넘게 차이 난다는 지적이 이어지면서다.
앞서 교촌은 순살치킨 중량을 200g 줄이고도 가격을 동일하게 유지했다가 논란이 커지자 원상 복구한 바 있다. 이후 온라인상에서는 “업체마다 닭 호수가 다르니, 모르는 치킨 브랜드에서 시키는 게 꺼려진다”, "교촌치킨도 그램(g)으로 표기했다면 소비자가 알아서 걸렀을 것'등의 불만이 쏟아졌다.
이에 정부 관계자는 “치킨 역시 일반 음식점처럼 중량 기준으로 표시될 필요가 있다”며 “영세업체의 부담이 과도하게 발생하지 않도록 세부 시행 방식은 업계 의견을 충분히 들은 뒤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 심리 노린 ‘가성비 착시’ 주의보
치킨 용량 논란과 맞물리며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길거리 타코야끼 가격표도 도마에 올랐다. 게시물 속 한 포장마차는 5알 3000원, 7알 4000원, 10알 5000원, 15알 8000원으로 표기돼 있다. 얼핏 봐서는 15알이 ‘가성비 최고’인 것처럼 보이지만, 댓글에서는 “이거 수학문제 아니냐, 문과는 ‘호구’ 잡히겠다”는 반응까지 나올 정도로 뜨거운 토론이 벌어졌다.
이에 누리꾼들은 한 알당 가격을 직접 계산해 보였다. “5알은 개당 600원, 7알은 571원, 10알은 500원이 제일 저렴한데, 15알은 오히려 533원”이라는 댓글이 가장 많은 공감을 받으며 확산됐다. 즉 가장 많은 세트를 사는 사람이 할인을 받는 게 아니라 오히려 비싸게 사는 구조였던 셈이다. 한 누리꾼은 “내 앞 사람 15알 두 세트 사가던데, 잠깐 멍해졌다”는 글을 남기기도 했다.
이를 두고 누리꾼들은 “단가 계산 안 하면 바로 속는 현실”, “이건 슈링크플레이션이 아니라 단위 플레이션”, “요즘은 소비자 계산 능력까지 시험하는 시대”라는 반응도 잇따랐다. 치킨·라면·음료 등 ‘슈링크플레이션’이 계속되자, 이제는 용량이 아니라 세트 구성 단위로 소비자 심리를 건드리는 ‘얼핏 가성비’가 또 하나의 전술로 등장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한편 정부는 치킨을 식품위생법상 영양성분·원재료 표시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 중이다. 소비자 모르게 원재료를 더 값싼 저품질 재료로 바꿔 쓰는 행위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취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ftershock@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