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파주시 전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단수 사태가 46시간 만인 16일 오전 11시를 기해 완전히 해소됐다. 교하동, 운정동, 야당동, 상지석동, 금촌동, 조리읍 등 파주시 주요 생활권 17만 가구가 이틀간 수돗물 없이 생활해야 했던 이번 사태는 한국수자원공사의 초동 대응 실패가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다.
파주시 관계자는 16일 "전 지역 수돗물 공급이 재개됐다"며 "교하·월롱배수지 수질은 현재 적합 판정을 받았으나, 상수도관 주요 지점과 아파트 저수조 등에 대한 추가 수질검사를 1주일 내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단수는 14일 오전 6시 30분 고양시 일산서구 덕이동에서 발생한 송수관 파손이 발단이었다. 한국수자원공사가 시행 중인 '한강하류권 4차 급수체계 조정사업' 공사 과정에서 파주시로 연결되는 1000㎜ 대형 송수관이 파손됐다.
◇사고 인지하고도 3시간 넘게 '침묵'한 수자원공사
문제는 수자원공사의 대응이었다. 공사는 오전 7시경 내부적으로 사고를 인지하고 8시에 고양정수장에서 파주시로 가는 밸브를 차단했다. 그러나 파주시에는 어떠한 통보도 하지 않았다.
파주시는 오전 9시 50분 한강유역환경청의 연락을 받고서야 사고 사실을 알게 됐다. 사고 발생 3시간 20분, 밸브 차단 1시간 50분이 지난 시점이었다. 파주시가 즉시 수자원공사에 자료를 요청했지만, 받은 보고서에는 '단순 누수 발생'이라는 내용만 있었고 밸브 차단 사실은 빠져 있었다.
파주시는 배수지 수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고 수자원공사에 "밸브를 열어 배수지에 물을 먼저 채운 뒤 복구 공사를 진행해달라"고 요청했다. 3만 2800톤 규모의 교하배수지와 2만 7500톤 규모의 월롱배수지가 비면 단수가 불가피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자원공사는 이 요청을 거부했다. 결국 배수지 수위가 바닥까지 떨어졌고, 파주시는 오후 12시 24분 단수 예고 재난문자를 발송했다. 오후 1시부터 본격적인 단수가 시작됐다.
일각에서 제기한 '단수 예고 시점'이 6시간이나 늦었다는 지적에 대해 시는 "한국수자원공사의 사고 통보 부재와 파주시의 요청을 이행하지 않은 구조적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파주시는 사고 사실을 한국수자원공사가 아니라 환경청을 통해 3시간 이상 늦게 알 수밖에 없었으며, 파주시가 피해 최소화를 위해 요청한 ‘선(先) 충수 후(後) 복구’ 방안 역시 이행되지 않아 배수지 수위가 급락함에 따라 단수 예고는 수위가 바닥에 도달하여 실제 단수 가능성이 확정된 즉시 이뤄진 것이다.
◇시민 피해 보상 수자원공사가…개별 구매 생수까지 보상
광역상수도관 누수 복구공사는 15일 새벽 1시에 마무리됐다. 하지만 거대한 배수지를 채우는 데 시간이 걸렸다. 월롱배수지는 15일 오전 6시 30분, 교하배수지는 7시 18분에야 각 세대에 공급할 수 있는 수위에 도달했다.
이후 배수지에서 가까운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공급이 재개됐다. 공동주택은 아파트 저수조를 채우는 시간이 추가로 필요해 더 늦어졌다. 최종적으로 16일 오전 11시가 되어서야 파주시 전역의 수돗물 공급이 정상화됐다.
파주시는 사고 직후부터 급수차 56대와 생수 16만 4000병을 긴급 지원했다. 시민들이 개별 구매한 생수도 보상하기로 했다. 피해 보상은 수자원공사가 담당하며, 구체적인 절차는 추후 공지될 예정이다.
박준태 파주시 환경국장은 "초기 복구 상황을 실시간으로 안내하지 못한 점을 사과한다"며 "사고 통보 체계 개선, 밸브 조작 시 지자체 사전 협의 의무화 등 재발 방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kh@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