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생태적 건강성과 사회·문화적 기능이 우수한 도시숲 등을 공모해 녹색도시 우수사례로 14곳을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산림청은 지난 8월부터 9월까지 전국의 도시숲, 학교숲, 가로수 등을 대상으로 43건을 접수했고 1차 서류평가와 도시숲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단의 현장심사를 거쳐 총 14곳을 녹색도시 우수사례로 최종 선정했다.
‘기후대응도시숲 분야’에서는 △경북 구미시 구미국가산업단지 미세먼지 차단숲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유천생태습지 기후대응 도시숲 △인천시 미추홀구 인천대로 완충녹지 기후대응 숲이 우수사례로 선정됐다.
‘도시숲 분야’에서는 △경남 김해시 진영 폐선철로 도시숲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치악산 바람길숲 △부산시 남구 황령산 생태숲이 뽑혔고 ‘가로수 분야’에서는 △경북 포항시 이화숲 가로수길 △경기도 평택시 평택 NO.1 가로숲터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청사로가로수가 선정됐다.
또한 ‘학교숲 조성 분야’에서 △대구시 중구 경북여자고등학교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초등학교 △경북 상주시 상주여자중학교가 우수사례로 이름을 올렸고 ‘학교숲 활용·사후관리분야’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귀덕초등학교 △경기 부천시 시온고등학교가 선정됐다.
‘구미국가산업단지 미세먼지 차단숲’은 국가산업단지와 배후 주거지 사이에 미세먼지 저감 목적의 숲을 조성해 숲 기능이 잘 발휘됐고 조성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식재기반, 마운딩을 통해 보완했다. 교목과 관목을 활용해 식재 밀도를 조절하고, 다층 구조를 이뤄내 선정됐다.
‘진영 폐선철로 도시숲’은 국토부·환경부 사업과 연계해 진영읍의 폐선철로를 다채롭게 조성했고 선형 녹지 네트워크로서의 도시바람길숲의 기능이 잘 발휘되는 곳으로 평가돼 선정됐다.
‘이화숲 가로수길’은 포항철길숲-이화숲길-상생공원을 연결하는 녹지축의 연속성이 확보돼 도시 생태 네트워크 형성에 기여를 하며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교육과 홍보가치가 높은 것으로 인정받아 선정됐다.
‘경북여자고등학교’는 학교 건물 사이에 중정을 조성했고 교목·관목 비중이 매우 높고 탄소흡수율이 매우 뛰어났다. 미세먼지 흡수, 습도 조절을 수행하고 상록 활엽수의 혼재 식재로 심미적 효과와 학생·교직원의 안정적인 정서 유지에 기여함을 인정받아 선정됐다.
‘귀덕초등학교’는 학교의 버려진 공간을 발굴해 조성한 후 활용 및 관리를 위한 협약 체결 등 유지관리 체계를 갖추며 학교 구성원들의 관심도가 높은 곳으로 평가돼 선정됐다.
김기철 산림청 도시숲경관과장은 “양질의 도시숲을 구도심 등 부족한 곳에 집중적으로 공급하고 앞으로도 양질의 숲을 가진 도시를 녹색도시 우수사례로 선정하겠다”며 “생태적으로 기능하고 사회적으로 기여하는 도시숲을 통해 기후재난에 대응하고 온 국민이 숲의 혜택을 골고루 누리는 녹색민주주의를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ypark@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