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바이오’가 공격적인 연구개발(R&D)로 올해 기술수출 18조 원, 건당 평균 계약 규모 1조 원 시대를 열었다. 서울경제신문 17일 자 보도에 따르면 올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기술수출 계약 건수는 16건, 총 계약 규모는 134억 9362만 달러(약 18조 원 규모)에 달했다. 특히 기술수출 1건당 평균 계약 규모가 8억 4000만 달러(약 1조 2226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기존 최고 기록인 2021년과 비교할 때 전체 규모뿐 아니라 평균 계약 규모가 2.6배나 성장한 것이다. 단순 기술수출을 넘어 글로벌 빅파마의 지분투자를 이끌어내는 등 지속적인 R&D와 상업화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며 질적 도약을 하고 있다는 평가다.
K바이오의 이 같은 성과는 무엇보다 바이오 기업들의 적자를 두려워하지 않는 공격적인 R&D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K바이오 빅3’는 장기간 영업적자를 기록하면서도 공격적인 R&D 투자로 성과를 냈다. 알테오젠·에이비엘바이오·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의 R&D 투자 비용은 2022년 대비 지난해 각각 19.65%, 45.5%, 121.7%씩 증가했다. 적자를 감수하고 수년간 R&D에 매진한 결과 기술수출 성과를 내며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만들어내는 단계가 된 것이다.
하지만 바이오 기업의 대부분은 아직도 자금난을 겪으며 R&D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바이오는 신약개발만 평균 10년 이상 걸리는 호흡이 긴 산업인데 많은 바이오 기업들이 산업 특성을 외면한 상장유지제도(법인세 비용 차감전 계속사업손실 규제) 등에 대해 고충을 호소하고 있다. 어렵게 기술특례상장으로 증시에 입성해도 R&D 비용 때문에 적자를 면치 못해 상장폐지 위험에 내몰리고 있는 게 안타까운 현실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올해 9월 제조업 4대 강국 목표를 밝히며 첫 현장 행보로 바이오 기업들과 만나 적극적인 지원 의지를 밝혔다. 역대 정부는 바이오 5대 강국을 만든다면서 실효성 없는 대책으로 공염불에 그쳤지만 이번엔 달라야 한다. K바이오의 성과가 지속되려면 정부가 파격적 투자로 마중물을 붓고 법차손 규제 완화와 세제 지원으로 뒷받침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