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와 전남도교육청은 학교 무상급식 식품비 분담비율을 학교급식지원 심의위원회에서 최종 확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지자체 40%, 교육청 60%다. 적용 기간은 2026년부터 2028년까지 3년간이다.
전남도와 전남도교육청은 지난해 무상급식 예산 분담비율 협의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지만, 상황을 개선하고 협력적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올해 초부터 실무 협의회를 개최하고 지난 5월 ‘장기분담비율 조정 등 학교급식 관련 공동 TF’을 구성했다.
공동 TF는 전남도, 전남도교육청, 전남도의회, 학교급식 관계자 등 8명을 위원으로 구성됐으며, 지난 6월부터 9월까지 3차례 회의를 열어 무상급식 식품비 분담비율, 친환경농산물 공급 방식과 공공급식통합플랫폼(SeaT) 보급 확대 방안 등 효율적 학교급식 운영 방안을 논의했다.
이 과정에서 학교급식 관련 전문가와 현장 관계자가 참여하는 간담회도 2차례 진행해 학교, 공급업체, 친환경농산물 생산단체 등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전남도는 2026년 무상 학교급식 지원사업에 496억 원, 친환경농산물 등 식재료 차액 지원사업에 393억 원, 총 889억 원을 학교급식 지원에 투입할 계획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이번 합의는 전남도와 교육청이 학생의 건강한 미래를 위해 한 단계 더 나아간 의미 있는 성과”라며 “친환경농산물 생산과 유통 기반을 꾸준히 강화하는 중요한 발판이 되고, 영양교사, 공급업체 등 급식 관계자에게도 안정적 운영 환경을 제공하는 만큼 앞으로도 교육청과 긴밀히 협력해 전남 학교급식이 한층 발전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hp9900@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