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지방선거기획단장)이 18일 "당원의 의견을 듣겠다는 절차가 의결을 위한 당원자격에 대한 논란으로 전개돼 안타깝다"고 밝혔다. 민주당이 대의원·권리당원 1인1표제 도입을 골자로 한 당헌·당규 개정안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당비 한 달 납부 권리당원'까지 의견을 수렴하기로 한 것을 두고 전날 당원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수습에 나선 모양새다.
조 사무총장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당원주권 확립과 지방선거에 권리당원의 참여 확대를 담은 당헌·당규 개정안을 마련하여 의견수렴 절차에 들어갔다"며 "이 과정에서 오해가 생긴 부분에 대해서 당원들께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리며 진행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해 드리겠다"며 이같이 전했다.
조 사무총장은 "의견수렴절차는 당원 의견을 듣기 위한 의견조사 투표를 오는 19~20일 진행한다"며 "의견조사 대상은 의결 절차가 아니므로 최근 당비를 납부한 자로 정해 의견 수렴의 폭을 넓혔다"고 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에는 560만명의 당원이 있고, 그중에 당비 납부를 약정한 당원이 300만명, 실제로 최근 당비를 납부한 당원이 165만명 정도"라며 "이번 의견조사 대상이 바로 당비 납부 당원"이라고 전했다.
이어 "의결권이 부여되는 투표라면 당헌·당규에 나오는 권리행사 기준(권리행사 시행일 6개월 전 입당·12개월 이내에 6회 이상 당비 납부)으로 선거인단을 구성해서 투표했을 것"이라며 "내년 지방선거의 권리행사는 이 기준이 적용된다"고 했다.
박수현 수석대변인도 페이스북에 "내년 지방선거 경선에선 '6개월 이상 당비 납부' 등 권리행사 조건을 충족한 권리당원이 권한을 행사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김현정 원내대변인 역시 이날 KBS라디오에서 이번 투표를 "일종의 당원 대상 여론조사"라며 "상당히 많은 숫자는 표의 등가성이 필요하다고 (응답이)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전날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원이 전면적으로 참여해 당의 후보를 공천하는 당원 주권 시대, 권리당원 열린 공천 시대를 열겠다"며 "19일과 20일 이틀간 1인1표 시대, 당원 주권 정당에 대한 당원들의 의사를 묻는 역사적인 전 당원 투표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관련해 지도부에서도 문제 제기가 나오기도 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전날 밤 페이스북에 "투표 자격을 불과 10월 한 달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으로 한정한 것은 우려가 있다"며 "당무와 관련한 당원 투표의 기준은 대부분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이었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dorimi@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