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업들이 앞다퉈 ‘인공지능 전환(AX)’에 속도를 높이고 있지만 국내 기업들의 AI 활용은 걸음마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0곳 중 8곳은 생산·물류·운영 등에 AI 솔루션을 도입하거나 활용하지 못하고 있고, 특히 중소기업은 투자비 부담 등의 이유로 AI 활용에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8일 국내 504개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AI 전환 실태와 개선 방안’ 조사를 실시한 뒤 발간한 보고서에서 "AI에 사활을 걸어야 하는데 국내 기업들은 돈도 사람도 확신도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상당수 기업들이 AI를 여전히 생산이나 물류, 운영 등에 적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의 82.3%가 'AI를 경영에 활용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고, 특히 대기업(49.2%)에 비해 중소기업(4.2%)의 활용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 비용에 대해 느끼는 부담감도 컸으며 AI 전문 인력 확보에도 인색했다. 응답 기업의 73.6%는 AI 도입을 위해 투입하는 비용에 대해 '부담이 된다'고 답했으며 이 또한 대기업(57.1%)보다 중소기업(79.7%)의 부담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AI 활용을 위한 전문 인력이 있다고 답한 기업은 19.3%에 불과했고 82.1%의 기업들은 전문인력 확보에 손을 놓고 있었다. 보고서는 “국내 AI 인재는 2만1000명 정도로 중국 41만1000명, 인도 19만5000명, 미국 12만 명보다 턱없이 적다” 며 "절대적 숫자도 적은데 그나마 있는 인재조차 빠져나가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국내 기업들은 AI 도입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도 확신을 하지 못했다. 'AI 전환이 성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 기업 10곳 중 6곳(60.6%)은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고 답했다. AI 도입에 엄청난 비용과 인력을 투입해야 하는데 투자 결과에 대한 의구심이 커 기업들이 AI 도입을 주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대한상의는 국내 기업들의 AX를 통한 성장을 위해 역량에 맞는 맞춤형 지원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AI 도입이 저조한 기업에게는 단순 자금 지원, 장비 보급보다는 ‘AI 도입 단계별 지원’을 강조했다. 도입 전 단계에서는 AI 활용 모델을 진단·설계해주는 컨설팅을 제공하고, 도입 단계에서는 데이터 수집과 알고리즘 적용 등 기술 지원을, 도입 후에는 운용에 필요한 실습 교육 등을 진행하는 식이다.
상의는 "일률적 프로그램 지원보다는 기업의 전략에 따라 유연하게 정책 지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자율성을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산업통상부가 제조 AX 얼라이언스를 통해 2030년까지 AI 팩토리를 500개 이상 구축하려 하고, 중소벤처기업부도 ICT 융합 스마트공장 구축과 제조AI 센터 구축 사업을 벌이고 있지만 기업들이 AI 도입 효과를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는 실증 모범사례를 조속히 만들 것을 건의했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지금은 실제 데이터 축적과 활용, 인재 영입 등에 뛰어들어야 하는 시점”이라며 “제조 현장에 빠르게 확산할 수 있는 아이디어와 더불어 강력한 지원, 파격적인 규제 혁신을 담은 선택과 집중의 ‘메가 샌드박스’라는 실행 전략이 맞물려 돌아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unpark@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