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영흥화력발전을 활용한 ‘글로벌 수소경제 도시 전략’을 내놓았다. 영흥화력발전을 청정수소 발전 입찰 시장에 참여시켜 장기적으로 무탄소 발전원으로 키우고 인근에 영흥미래에너지파크를 만들어 친환경 에너지 생태계로 조성할 방침이다.
한준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19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서울경제신문 주최로 열린 ‘제22회 에너지전략포럼’에서 “인천시는 영흥화력발전 내구 연한 도래 이후 수소 전소 발전 또는 암모니아 혼소와 같은 무탄소 계획을 갖고 있다”며 “청정암모니아와 수소 전환을 통해 인천은 글로벌 수소경제 도시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천시에 따르면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 등의 내구 연한이 2034년 이후 차례로 도래하면서 정부의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액화천연가스(LNG)발전소, 수소 전소, 암모니아 혼소 등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한 연구위원이 밝힌 수소 도시로의 도약 전략 중심에는 영흥미래에너지파크가 있다. 수도권 전력 공급의 핵심 배후 시설인 영흥화력발전 송전 시설을 활용한 친환경 에너지 산업단지 건립이 주요 골자다. 이는 정부의 ‘탄소 중립 시나리오’에 발맞춰 영흥화력발전 인근 지역을 지속 성장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 생태계로 조성하기 위한 조치다.
한 연구위원은 “영흥미래에너지파크는 해상풍력과 수소에너지 산업을 집적화한 지속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 산업단지로 최근에는 전기 사용량이 많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 신산업안을 포함하고 있다”며 “정부의 탄소 중립 정책과 무탄소 발전을 통한 인천시의 정책 방안을 담아냈다”고 설명했다.
현재 인천시의 계획에 따르면 영흥미래에너지파크는 370여 만㎡(약 113만 평)규모로 조성되며 총사업비는 약 22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영흥미래에너지파크 관련 컨소시엄에는 인천시·옹진군·인천연구원·인천도시공사·남동발전·석유공사·인천테크노파크·삼성·HDC현대산업개발·GS·어프로티움 등 총 11개 민관연 기관이 참여한다.
영흥미래에너지파크의 또 다른 성장 동력인 AI 데이터센터는 향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에너지특구)’으로 지정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분산에너지특구로 지정되면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와 함께 한 연구위원은 “인천 연안에 추진 중인 해상풍력은 청정암모니아·수소와 함께 인천시의 석탄화력발전 이후 무탄소 발전 전략의 한 축”이라고 강조했다.
인천시는 현재 옹진군 백아도 남서쪽 해상에 약 1GW 규모의 공공 주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IC1)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민간 주도의 5GW와 공공 주도 2GW를 포함해 총 7GW 규모의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 연구위원은 “인천시가 추진하고 있는 공공 주도 해상풍력은 현재 기후에너지환경부에 지정 신청서를 제출한 상태”라며 “민간 주도 같은 경우는 현재 3.9GW 정도가 허가 완료가 된 상태이고 풍황 계측까지 포함되면 규모는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해상풍력 외에도 인천시의 중장기 신재생에너지 발전 보급 계획에 따라 인천 서구에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생산 역량을 갖춘 액화수소 생산 플랜트를 가동 중”이라며 “인천시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를 전체 전력 소비 대비 35.8%까지 확대하는 목표를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jk@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