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가 내년부터 시민들이 배출한 폐가구 등 폐목재를 유상으로 판매해 새로운 수익원으로 전환한다. 2026년 수도권매립지 직매립 금지를 앞두고 폐기물을 자원으로 바꾸는 순환경제 정책을 본격화하는 것이다.
고양시는 폐목재 유상 판매와 함께 순환자원 회수로봇, 자원순환가게 등을 통해 재활용품 회수 시스템을 확대 운영한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이미 폐열과 바이오가스 판매로 연간 23억 원 가까운 수익을 올리고 있다.
◇폐목재 무상에서 유상으로…연 1만 톤 새 수익원
고양시에 따르면 지난해 대형폐기물로 배출된 2만 3436톤 중 폐목재는 1만 973톤으로 47%를 차지했다. 지금까지는 재활용업체에 무상으로 제공했지만 내년부터 유상 판매로 전환한다. 폐목재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파쇄하면 유해가스 발생이 적은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재활용된다. 시는 온비드 플랫폼을 통해 업체를 선정하고 있으며 판매 수익은 시 재정에 재투입할 계획이다.
고양시는 이미 폐자원 에너지화로 상당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고양환경에너지시설에서 지난해 폐기물 소각 과정에서 발생한 폐열 7만 7963기가칼로리(Gcal)를 지역난방공사에 판매해 22억 원의 수익을 거뒀다. 고양바이오매스에너지시설에서는 음식물쓰레기에서 바이오가스 534만㎥를 생산해 6700만 원의 수익을 올렸다.
◇재활용품 모으면 현금 전환…2072만 포인트 지급
시민들이 재활용품을 가져가면 포인트를 적립해주는 시스템도 확대됐다. 고양시청 등 7개소에 설치된 11대의 순환자원 회수로봇은 투명 페트병과 캔을 개당 10포인트로 적립해준다.
올해 10월 말까지 1만 3388명이 이용해 23.7톤을 수거했고 1347만 포인트가 지급됐다. 회수된 페트병은 재생 플레이크로 가공돼 새 페트병이나 섬유 원료로 쓰인다. 자원순환가게 15곳에서는 플라스틱, 캔, 종이팩을 무게로 재서 포인트를 제공한다. 2000포인트 이상 모으면 현금으로 인출할 수 있다. 10월 말까지 24톤이 회수돼 725만 포인트가 지급됐다.
44개 동 행정복지센터에서는 폐건전지 20개나 투명 페트병 1kg을 가져가면 종량제봉투(10L)로 교환해준다. 10월 말 기준으로 페트병 5779kg, 폐건전지 4만 8513kg, 종이팩 2만 1175kg이 수거됐다.
고양시는 초중고와 유치원을 대상으로 '학교와 함께하는 자원순환의 날'을 운영 중이다. 학생들이 직접 분리배출을 체험하고 폐건전지와 종이팩을 수거하는 프로그램이다.
7월 도래울중학교를 시작으로 11월까지 14개교가 참여했고 12월에는 호수초, 고양송산중 등이 예정돼 있다. 공동주택과 어린이집 등을 찾아가는 쓰레기 줄이기 교육도 올해 24개소에서 92건 진행된다.
고양시는 하루 평균 310톤의 생활폐기물 중 180톤을 소각, 130톤을 매립하고 있다. 2026년 수도권매립지 직매립 금지를 앞두고 폐기물 감량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생활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폐기물을 소중한 자원으로 활용하는 순환경제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며 “환경과 지역경제 모두를 살리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kh@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