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혁명을 통해 이뤄낼 유비쿼터스 사회의 편리성을 상징적으로 대변하는데 쓰여지는 단어들이다. 여기에는 정보통신·컴퓨팅·생명공학·나노기술·환경기술 등 각 분야별 첨단과학기술이 서로 어울어져 이상적인 융합기술이 만들어지고 이들이 또 결합해 인간에게 가장 편리하고 행복한 생활환경을 제공해주는 유토피아적 ‘과학기술의 절정’을 암시하고 있다.
이미 우리사회의 분야별 과학기술 발전속도는 일반인들이 감지하지 못할 정도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 특히 이들 과학기술의 결과물은 산업활동의 핵심적인 방향타 역할을 하며 미래 경제수단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도구로 활용돼 왔다.
최근들어 정통부가 유비쿼터스 산업발전을 위해 오는 2010년까지 18조원의 예산을 투입키로 한 것과 해외투자유치를 위해 청와대가 직접 나서고 있는 것도 유비쿼터스를 경제부흥의 도구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본지가 주관하는 과학CEO포럼도 지난달 22일 유비쿼터스 실현을 위한 정부 기업 대학 연구소간의 역할분담에 관한 주제로 영역별 역할론에 초점을 맞췄다.
사실 우리 기업 및 연구소 등은 유비쿼터스 산업에 대한 이상적인 발전 보다는 당장의 먹거리를 찾아 영역별 조율없이 자사 전문성에 맞춘 제품개발에 매달리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다. 정부도 부처간 상황을 고려치 않고 부처 이기주의에 치우칠 가능성이 높다.
물론 기업이나 연구기관이 자신들의 강점을 살린 첨단제품 개발에 전념하는 것이 잘못 됐다는 얘기는 아니다. 복합적인 기술이 요구되는 유비쿼터스 산업특성상 미래비전 전략서부터 경제 효과에 이르기까지 큰 그림속의 영역별 교통정리와 이를 사전조율 해야하는 단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같은 상황을 이유로 각 분야별 협의체가 구성되고 정례포럼이 발족하는 등 유비쿼터스를 이슈로한 각종 모임들이 속속 출범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유비쿼터스란 미래산업의 성장도구가 우리사회를 풍요롭게 하고 경제부흥 수단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영역별 치열한 경제구도보다는 기업과 기업 혹은 산업과 산업간의 공동보조를 취하며 협력하는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향타를 올바르게 잡는 것은 정부의 몫이다.
박 훈 파퓰러사이언스 편집장
hpark@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