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NEW2OO5] 항공 · 우주

에어버스 A380
비행사상 최대 항공기


에어버스 A380은 4월 27일 프랑스 툴루즈에서 처녀 비행을 함으로써 장거리 항공 여행의 새 시대를 열었다. 이 비행기를 가장 먼저 구입하려고 대기중인 싱가포르와 에미레이트, 버진 항공사들은 이 초대형 제트기의 널찍한 2층짜리 객실을 약 118명의 비즈니스 및 1등석 고객들로 채우고, 일반석에는 437명이나 되는 승객을 탑승시켜 항공료를 저렴하게 유지할 계획이다. 모두 일반석으로 할 경우 승객을 800명까지 탑승시킬 수 있다. A380은 크기가 작은 보잉 747에 비해 소음이 절반 수준이고, 엔진에 달린 팬은 더 커서 각각 72,000 파운드의 추진력을 내면서도 출력을 낮추지 않은 채 시끄러운 배기가스 방출을 늦출 수 있다. 또한 이 항공기는 전례없는 대폭적인 비율로 경량재를 사용했다. 탄소섬유 복합재와 티타늄, 알루미늄과 섬유유리 라미네이트가 기체 전체의 철제를 대신했다. 날개 구조도 효율성을 최대화하도록 제작되어, 다른 비행기의 날개처럼 분절화되어 있지 않고 전체가 연속적으로 변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한 가지 장점은 신뢰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 항공기에는 수많은 에비 장치들이 있어서 에어버스사는 이 항공기가 기계 결함으로 불시착할 일은 없을 거라고 주장한다. airbus.com

가민 GPS맵 396
민간 조종사들을 위한 실시간 기상정보


가민사는 GPSMap 396을 갖춘 비행기들에 실시간 날씨 정보를 직접 전송해준다. 이 휴대용 네비게이션 장치는 XM WX 위성 일기 레이더로부터 날씨 정보와 위성 영상, 일기예보 및 바람에 관한 자료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2,700달러; garmin.com

시콜스키 X2 기술 시연기
헬기 속도를 시속 460km까지 높여주는 혁신적 날개


헬기의 최고 속도는 1960년대 이후 큰 변화가 없었지만 내년 말 시콜스키가 새로 공개하는 X2 초기 모델이 첫 비행을 하면서 추세가 바뀔 것이다. 이 헬기는 날이 4개 달린 회전 날개 2개를 이용해 기존 헬기의 최고 시속 350km보다 빠른 최고 460km의 속도를 낼 수 있다. 아래쪽 회전 날개는 위쪽 날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비행기 프로펠러 모양의 꼬리 날개가 추진력을 상당히 높여준다. 두 겹으로 된 날개 구조는 새로운 조종 기술과 강도 높은 복합재를 사용, 날개를 가까이 설치해 저항을 줄일 수 있다. www.sikorsky.com

스위프트
우주에서 가장 강력한 폭발 추적


스위프트는 수십년간 천문학자들을 당혹스럽게 해 온 기묘한 감마선 폭발의 미스테리를 풀기 위한 용도로만 제작된 최초의 인공위성이다. 사실 매일같이 새로운 폭발이 하늘 곳곳에서 무작위로 발생해 강력한 감마선을 1초에서 2분 정도간 방출한다. 폭발이 사그라들기 전에 스위프트는 재빨리 이를 포착해 탑재된 망원경과 다른 위성들이 관측하도록 회전시킨 후 폭발 위치를 지상의 망원경들로 전송하면 이 망원경들이 폭발 지점을 세밀하게 관측한다. 작년 말 발사된 이후 이 위성은 이미 80건의 폭발을 포착했는데, 이중 하나는 관측이 시작된 이후 가장 먼 곳에서 발생한 것이었다. 10월에 천문학자들은 스위프트의 최대 발견 사실을 발표했다: 지속 시간이 채 2초도 안 되는 짧은 감마선 폭발이 두 개의 중성자별끼리, 또는 중성자별과 블랙홀간의 충돌로 발생한다는 것이었다. 이런 충돌로 새로운 블랙홀이 생성된다. swift.gsfc.nasa.gov

실험 위성 시스템 11 (XSS-11)
가능성이 높아진 자동 우주 랑데부


XSS-11은 다른 위성들을 추적하기 위해 제작된 공군의 실험 기술 시연장비이다. 통제관들이 이 우주선에 감시하려는 위성의 위치만 알려주면 XSS-11이 자동으로 코스를 찾아 표적 위성으로 다가간 뒤 궤도를 돌며 관찰한다. 이로써 자동 위성 감시 및 수리로 가는 첫 발을 내디딘 셈이다. www.vs.afrl.mil

대솔트 팰컨 7X
세계에서 가장 효율적인 고속 비즈니스 제트기


대부분의 비즈니스 제트기들은 최고 속도로 최대 항속거리까지 비행하지 못한다. 지난 2월에 선보인 대솔트 팰컨 7X는 에외이다. 이 제트기는 날개가 길고 날렵해 첫 시동을 건 후 가뿐하게 41,000피트 고도에 도달해 고속으로 비행해도 다른 날개 모양의 제트기들보다 저항을 덜 받는다. 다른 제트기들은 상당한 양의 연료를 소비한 후에야 이 정도 고도에 도달해 비로소 비행기의 운항 효율성이 높아진다. 이런 날개 덕분에 7X는 시속 850km의 속도로 6,560마일의 거리를 비행할 수 있다. 첨단 보조익과 꼬리날개 덕분에 팰콘은 느린 속도로 짧은 활주로에 착륙할 수 있다. 더욱이 비즈니스 제트기로는 처음으로 대형 항공기들의 안전을 대폭 향상시켜준 전자식 비행 조종장치를 갖추고 있다. 39,000,000달러; dassaultfalcon.com

딥 임팩트
시속 36,800km의 충돌로 밝혀진 혜성의 내부 비밀




“탄환을 강타하는 탄환”이라고 NASA의 과학자들은 딥 임팩트 미션을 묘사했다. 구리와 알루미늄으로 된 400kg짜리 충돌체가 템펠 1 혜성의 경로에 자리잡고 있다가 7월 4일 이 혜성에 충돌해[위] 최초로 혜성 내부 모습을 볼 수 있게 해주었다. 충돌체를 발사한 우주선에 장착된 센서들이 파편을 분석한 결과 놀랍게도 보통 액체 상태의 물에서 형성되는 광물인 탄산염 같은 성분들과 숯의 주성분인 방향성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deepimpact.jpl.nasa.gov

메드 RCX400
진일보한 천체망원경


메드의 RCX400은 별 관측과 천체 촬영에 적합한 특징들을 모두 갖춘 최초의 상용 망원경이다. 이 망원경에는 GPS 추적 장치 외에도 내장형 냉각팬과 모터가 달린 초점조절기, 렌즈에 이슬이 맺히지 않도록 하는 히터가 달려 있다. 망원경의 거울들은 전자식으로 정렬되고, 서로 다른 천체 목표물을 관측할 수 있도록 맞춤 설정 기능을 제공한다. 렌즈 구경 10-16인치; 5,150달러- 16,400달러; meade.com

t/스페이스 승무원 귀환용 비행체
스마트한 우주왕복선 보조장치


트랜스포매이셔널 스페이스사의 다용도 유인 로켓 시스템에는 재치있게 설계된 캡슐이 있는데, 이 캡슐은 우주에서 발사되어 궤도 재진입 후 바다에 착륙한다. 이 신생회사는 곧 상용 우주선 개발 경쟁에서 선두로 나서게 되었고, 이 회사의 제품은 NASA가 우주왕복선을 교체하려는 중 주요 보조장치로 채택될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작동하는 장치를 시연해 보여준 후에야 NASA로부터 점차 많은 자금 지원을 받고 있는 티스페이스사의 접근 방식은 세계에서 확고한 신뢰를 얻었다. transformspace.com

데이젯 실시간 최적화 엔진
편리한 비행기 예약 소프트웨어


데이젯의 새 소프트웨어는 곧 등장할 주문형 항공 운항 서비스의 핵심 기술로 좌석이 남아있는 비행기와 여행을 하려는 사람들을 효율적으로 연결시켜 준다. 내년이면 이미 전화나 온라인으로 원하는 출발 및 도착 시각과 함께 항공권을 주문할 수 있게 된다. 이 소프트웨어는 날씨와 구할 수 있는 항공편, 요금과 함께 회답을 해준다. dayjet.com

화성 정찰 궤도선
화성의 물 존재 여부를 알아내는 최고의 도구


화성 정찰 궤도선에 탑재된 채 화성 표면을 향한 50cm짜리 망원경은 협곡에 난 균열이나 예전에는 희미하게만 보였던 돌출된 바위처럼 1미터가 채 안되는 구조물들도 찾아낸다. 과학자들은 지난 8월에 발사되어 내년 3월 화성 둘레 궤도를 선회하게 될 이 우주선이 타이어가 없이 화성 표면을 돌아다니고 있는 두 대의 화성 탐사선을 찾아내 유럽우주국의 실패작 비글 2 착륙선의 흔적을 추적하려 하고 있다. 지면관통 레이더가 물의 흔적을 더 심도있게 조사할 것이다. 과학자들은 이를 통해 지하에 묻힌 얼음덩어리들이나 지하 호수를 발견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mars.jpl.nasa.gov/mro

에어로바이론먼트 글로벌 옵저버
최초의 수소 동력 무인 비행기


며칠동안 비행을 하면서 병사들의 정찰 임무를 돕거나 재해를 당한 지역에 비상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무인항공기(UAV)를 상상해보자. 최초의 유인, 태양력 비행기들을 제작한 에어로바이론먼트사는 높은 고도에서 한 번에 일주일 이상 체공할 수 있는 원형 UAV의 비행에 성공했다. 비행기에 동력을 공급하고 야간 비행을 위해 충분한 전기를 비축해두어야 했던 이전의 태양력 장치들과는 달리 글로벌 옵저버는 연료 전지 동력을 이용한 전기 모터로 8개의 프로펠러를 구동시킨다. 15미터의 날개를 단 원형 모델은 5월부터 시작해 수시간에 걸친 임무들을 수행해 수소만으로도 가동할 수 있음을입증했다. aerovironment.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