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직접 만드는 전자책

완벽한 E북 리더기로 변신한 중고 태블릿 PC

메이크 매거진의 수석 편집자인 필립 토런은 아마존의 E북 리더기인 킨들을 애장품으로 꼽는다. 하지만 이왕이면 총천연색의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갖춘 제품을 갖고 싶다는 생각도 크다.

그래서 그는 300달러를 들여 신제품을 구입하기 보다는 중고 태블릿 PC를 개조해 나만의 E북 리더기를 만들기로 결심했다. 태블릿 PC는 키보드를 접어 넣을 수 있거나 아예 키보드가 없는 PC로서 조작은 주로 스타일러스 펜이나 터치스크린에 의해 이루어진다.

사실 태블릿 PC는 킨들만큼 배터리 사용시간이 길지도 않고 항상 인터넷과 연결해 책을 다운로드받을 수도 없다. 하지만 시스템을 조금 수정하고 무료 소프트웨어를 몇 개 추가하면 킨들이 하는 일은 뭐든지 한다.

게다가 킨들과 달리 만화책과 잡지를 총천연색으로 볼 수 있으며, 블로그를 읽거나 PDF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 추가요금을 낼 필요도 없다. 특히 태블릿 PC는 그리 인기 있는 제품이 아니어서 킨들의 절반 값이면 구입이 가능하다.

E북 리더기 만들기

time: 1 HOURS
cost: $200
easy ◇◆◇◇◇ hard


1. 구입

온라인 쇼핑몰에서 저렴한 태블릿 PC를 구매한다. 200달러 정도를 예산으로 잡고 모션 M1400이나 후지쯔 스타일리스틱 같은 구형 모델을 고르는 게 좋다. 하지만 기능에는 이상이 없어야 한다. 물론 고장 부위를 고칠 능력이 있거나 손실된 부품을 구할 수 있다면 더 저렴한 제품을 구입해도 된다.

2. 포맷

불필요한 프로그램을 제거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extremetech.com, lifehacker.com 등을 참조하면 된다. 이후 제어판- 디스플레이를 클릭해 스크린에 표시되는 스타일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바탕색은 고대비의 흰색 계열로 선택하고, 아이콘의 크기도 키워서 스타일러스 펜으로 쉽게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원한다면 인터페이스를 흑백으로 설정, 킨들 분위기를 낼 수도 있다.



그리고 D패드 매핑 소프트웨어를 활용, 버튼의 기능을 바꾼다. 일례로 Page Up과 Page Down 버튼을 각각 다음 페이지와 이전 페이지 버튼으로 바꾸는 등 E북 리더기의 기능에 맞춰 버튼을 재설정하면 된다.

3. 설치

캘리버(calibre.kovidgoyal. net)나 어도비 PDF 리더(get.adobe.com/reader) 같은 리더 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 파퓰러사이언스 등 잡지의 디지털 판을 보려면 지니오(zinio.com)도 설치해야 한다. 피드데몬(newsgator.com) 같은 RSS 리더를 설치하면 태블릿 PC의 무선(Wi-Fi) 기능으로 뉴스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태블릿 PC에 블루투스 기능이 있다면 휴대폰과도 연결된다. 그리고 저작권 없는 텍스트들을 무료 제공하는 뉴욕타임스(prototype.nytimes.com/gst/ articleSkimmer), 구텐베르크(gutenberg.org) 등의 사이트를 즐겨찾기에 등록해 놓는다.

4. 독서

앉아서 독서를 즐겨라. 이 기기를 이용하면 의외로 많은 클래식 서적과 PDF 파일을 읽을 수 있다. 또한 이 기기를 들고 몇 시간 동안 앉아서 전자책을 읽을 수 있다. 개인 능력에 따라 이보다 더 좋은 방법으로 E북 리더기를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