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롯데家 장남 신동주, 롯데 경영진에 1400억 원대 손배소
    롯데家 장남 신동주, 롯데 경영진에 1400억 원대 손배소
    생활 2025.07.07 15:21:44
    신동주 전 롯데홀딩스 부회장(SDJ코퍼레이션 회장)이 동생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 일본 롯데홀딩스 경영진 6명을 상대로 1400억 원대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주주대표소송을 제기했다. 신동주 전 부회장 측은 지난 4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겸 일본 롯데홀딩스 대표이사에 대해 총 134억 5325만 엔(약 1340억 원)의 손해배상을 청구하고, 신 회장 포함 이사 6인을 상대로 총 9억 6530만 엔(약 96억 원)의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주주대표소송을 도쿄지방재판소에 제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소송은 4월 30일 신 전 부회장이 롯
  • '클라우드 강자' 메가존, 과기부와 양자컴 연구
    '클라우드 강자' 메가존, 과기부와 양자컴 연구
    IT 2025.07.07 15:20:59
    메가존클라우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양자컴퓨팅 서비스 및 활용체계 구축' 사업의 공동연구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이 사업은 국가 차원의 양자컴퓨팅 활용 기반을 조성하고, 슈퍼컴퓨팅과 양자컴퓨팅을 통합한 하이브리드 컴퓨팅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주관연구수행기관으로 선정됐으며, 메가존클라우드는 공동연구수행기관으로 참여한다. 또 양자표준기술 기업 에스디티(SDT)와 숙명여자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GIST), 금오공과대학교 등이
  • 성능·디자인 다잡은 미닉스 미니 식기세척기…“상반기 판매량 두 배 증가”
    성능·디자인 다잡은 미닉스 미니 식기세척기…“상반기 판매량 두 배 증가”
    중기·벤처 2025.07.07 15:16:28
    앳홈의 공간의 가능성을 넓히는 가전 브랜드 미닉스(Minix)가 미니 식기세척기 올해 상반기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약 두 배 증가했다고 7일 밝혔다. 앳홈은 대형화·프리미엄에 집중된 가전 시장의 흐름 속에서, ‘증가하는 1인 및 소규모 가구가 사용할 만한 가전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미닉스를 탄생시켰다. 생활속에서 고객의 숨겨진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소형 가구와 작은 생활 공간에 적합하도록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깔끔하고 아름다운 디자인의 제품을 통해 공간 가능성을 만들어 가고 있다. 2023년 1월 첫 출시
  • "편의점에서 10% 캐시백" 우체국 럭키 체크카드
    "편의점에서 10% 캐시백" 우체국 럭키 체크카드
    IT 2025.07.07 15:07:00
    우정사업본부가 청년층을 타깃으로 한 '우체국 럭키(LUCK-KEY)' 체크카드를 7일 출시한다. 주요 타깃층의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상품으로, 편의점과 간편결제, 커피전문점 등 이들의 사용 빈도가 높은 업종에서 최대 10% 캐시백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월 1만 5000원까지 4대 편의점에서 10% 캐시백 혜택을 준다. 삼성페이·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토스페이 등 간편결제, 맥도날드·롯데리아·버거킹·써브웨이 등 패스트푸드, 메가커피&middo
  • 경동나비엔, 국가고객만족도 가스보일러 부문 1위 선정
    경동나비엔, 국가고객만족도 가스보일러 부문 1위 선정
    중기·벤처 2025.07.07 14:50:26
    경동나비엔(009450)이 2025 국가고객만족도(NCSI)에서 올해부터 신설된 가스보일러 부문에서 1위로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국가고객만족도 조사는 한국생산성본부가 주관하고 소비자의 기대와 실제 사용 경험의 차이를 분석해 만족도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다. 올해부터 가스보일러 부문이 신설됐고 경동나비엔이 첫 1위로 선정돼 업계 1위 위상을 재확인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경동나비엔은 1988년 아시아 최초로 친환경·고효율의 콘덴싱보일러를 개발했다. 2022년에는 온수 기능이 대폭 강화된 보일러 '나비엔
  • 뇌졸중 신약, 심사만 10개월째…전문가들 “국내 도입 시급”
    뇌졸중 신약, 심사만 10개월째…전문가들 “국내 도입 시급”
    바이오 2025.07.07 14:47:50
    대한뇌졸중학회가 7일 초급성기 뇌경색 치료제인 '테넥테플라제(Tenecteplase)'의 국내 도입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학회에 따르면 미국·유럽·중국·호주·태국 등 여러 국가에서 진료지침을 통해 급성기 뇌경색 환자의 정맥 내 혈전용해제(tPA)로 권고되는 테넥테플라제가 국내에선 쓰이질 못하고 있다. 테넥테플라제의 국내 공급을 담당하는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이 2024년 9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품목허가를 신청했지만 10개월째 승인 심사가 진행 중이다. 테넥테플라제는 현
  • 그래디언트, 이너뷰티 브랜드 '리앤핏' 론칭…"아름다움 위한 섭취 습관"
    그래디언트, 이너뷰티 브랜드 '리앤핏' 론칭…"아름다움 위한 섭취 습관"
    중기·벤처 2025.07.07 14:42:31
    그래디언트(035080)가 프리미엄 이너뷰티 브랜드 '리앤핏'(reNfit)을 신규 론칭했다고 7일 밝혔다. 리앤핏은 ‘아름다움을 위한 섭취 습관’이라는 뜻으로, 단백질을 비롯해 기능성 건강식품을 아우르는 종합 이너뷰티 브랜드다. 첫 제품은 '리앤핏 단백질 쉐이크'다. 신제품은 단백질 21g에 콜라겐, 히알루론산, 맥주효모, 비오틴 등을 추가한 제품이다. 프리미엄 미국산 비유전자조작식품(Non-GMO) 단백질을 사용했으며 동물성과 식물성 단백질을 5:5로 배합해 빠른 에너지 충전과 오랜 포만감을
  • 에이피알 “세안·케어 동시에”…‘부스터 진동 클렌저’ 선봬
    에이피알 “세안·케어 동시에”…‘부스터 진동 클렌저’ 선봬
    생활 2025.07.07 14:40:36
    에이피알(278470)의 뷰티 디바이스 브랜드 메디큐브 에이지알(AGE-R)이 신규 뷰티 디바이스 ‘부스터 진동 클렌저’를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부스터 진동 클렌저는 세안과 라인 관리, 기초 케어를 동시에 진행하는 신개념 클렌징 디바이스다. 8중 실리콘 미세모가 약 3만 9000회(5단계 3분 사용 기준)의 미세 진동으로 강력한 세정 효과를 이끌어낸다. 인체적용시험 결과 1회 사용 기준 손 세안 대비 약 133% 높은 메이크업 세정력을 보였다. 중주파 EMS 기술도 접목했다. 제품 상단부에 장착된 EMS 전극 단자가 피부 속 미
  • SK, 보령LNG터미널 유동화 착수…지분 전량 매각
    SK, 보령LNG터미널 유동화 착수…지분 전량 매각
    기업 2025.07.07 14:29:27
    SK이노베이션(096770) E&S가 충남 보령 액화천연가스(LNG) 터미널의 지분 유동화에 본격 착수했다. SK(034730)이노베이션 E&S는 지분 50%를 유동화해 최소 6000억 원의 현금을 확보하면서도 보령LNG터미널을 LNG 핵심 거점으로 지속 활용하겠다는 전략이다. 7일 재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 E&S는 매각 주관사인 스탠다드차타드(SC)증권을 통해 잠재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투자 설명서를 배포했다. SK이노베이션 E&S는 경쟁 입찰을 통해 최종 투자자를 선정하고 연내 관련 일정을 모두 마무리할 계획이다. 유동화 대
  • 전공의 "복귀 선결조건 1순위, 尹정부 의료개혁 재검토"
    전공의 "복귀 선결조건 1순위, 尹정부 의료개혁 재검토"
    바이오 2025.07.07 14:27:20
    윤석열 정부의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선언 후 사직한 전공의 중 70% 이상이 윤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패키지·의료개혁 실행방안이 재검토돼야 복귀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 등 이른바 필수의료 진료과 전공의 중에서는 과반이 아예 수련현장 복귀 의사가 없다고 응답했다. 전공의 단체가 기존에 내세웠던 7대 요구안에 비하면 수위가 완화됐지만 여전히 정부로서는 부담스러운 요구다. 정부와 의료계가 의정갈등 해소를 위해 대화를 재개한다 해도 세부 협상에서
  • 삼성重, 아프리카 선주와 8700억 FLNG 예비 협약
    삼성重, 아프리카 선주와 8700억 FLNG 예비 협약
    기업 2025.07.07 14:23:29
    삼성중공업(010140)이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설비(FLNG) 계약을 따내는 데 성공했다. 삼성중공업은 아프리카 지역 선주와 ‘해양생산설비 본계약 체결 전 예비 작업’에 대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모잠비크 코랄 북부 가스전 FLNG 관련 건으로 추정된다. 이번 예비 작업 계약금은 8694억 원 수준으로 본계약이 체결될 경우 총수주 규모는 25억 달러(약 3조 6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FLNG는 삼성중공업이 독보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분야다. 지금까지 발주된
  • 한미 공동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관측 데이터 개방한다
    한미 공동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관측 데이터 개방한다
    IT 2025.07.07 14:20:55
    한국천문연구원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 등과 공동 개발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의 관측 데이터를 전 세계에 공유한다고 7일 밝혔다. NASA는 관측 데이터를 관련 웹사이트에 공개했다. 한국 스피어엑스 연구팀은 이에 맞춰 새로운 이미지인 타란툴라 성운 이미지를 선정 및 합성해 공개했다. 양유진 천문연 책임연구원은 “한국 스피어엑스 연구팀은 관측 데이터를 과학 연구에 활용하기 위해 추가 데이터 처리 작업을 하고 있으며, 한국 천문학계를 대상으로 공모받은 120여 개의 연구주제를 바탕으로 연구 그룹을 구성하는 등 과학 연구를 진전시
  • 도시유전, 로우카본과 청정 e-메탄올 생산 협력
    도시유전, 로우카본과 청정 e-메탄올 생산 협력
    IT 2025.07.07 14:09:31
    도시유전은 7일 로우카본과 e-메탄올 생산기지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카본 네거티브형 청정연료인 e-메탄올 사업에 본격적인 준비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도시유전의 폐플라스틱 비연소식 저온 분해 기반의 재생유 생산 기술(RGO)과 로우카본의 차세대 청정연료인 e-Fuel 생산기지를 공동으로 설계·구축·운영하는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골자다. 두 회사는 사업 운영을 위한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기로 하고 세부협력사항을 담은 합의각서(MOA)를 별도로 체결하기로 했다. 생산기지
  • 네이버웹툰, 북미 최대 규모 애니메이션 행사 ‘LA 애니메 엑스포 2025’ 성료
    네이버웹툰, 북미 최대 규모 애니메이션 행사 ‘LA 애니메 엑스포 2025’ 성료
    IT 2025.07.07 14:05:01
    네이버웹툰의 모회사인 웹툰 엔터테인먼트가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LA 애니메 엑스포’에 참가해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7일 밝혔다. 북미 최대 규모의 애니메이션 행사인 LA 애니메 엑스포는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를 다루는 오프라인 전시회이다.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이야기가 시작되는 곳’이라는 주제로 올해 처음으로 단독 부스를 운영하며 북미 팬들과 본격적인 소통에 나섰고, 전시 기간 동안 매일 수천 명의 팬들이 몰리기도 했다. 웹툰 엔터테인먼트 부스에서는 진행 중인 애니메이션 프로젝트를
  • 대통령에 탄원한 우선주 소수주주…한화 "주주 보호 차원 선제 조치"
    대통령에 탄원한 우선주 소수주주…한화 "주주 보호 차원 선제 조치"
    기업 2025.07.07 14:04:10
    한화(000880)그룹의 지주사인 한화의 1우선주 소수주주 연대는 회사 측이 1우선주를 부당 상장 폐지하려는 것으로 의심된다며 이를 막아달라는 내용의 탄원서를 대통령실에 냈다고 7일 밝혔다. 한화 1우선주 소수주주의 활동을 지원하는 온라인 플랫폼 '액트'에 따르면 소수주주 연대는 이 탄원서에서 한화 측이 상장 유지 요건인 20만 주에 단 967주가 부족하게 자사주를 소각해, 고의로 상장폐지를 하고 소수 주주를 회사에서 쫓아내려는 의도가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액트의 이상목 대표는 “한화 측은 소액주주 보호 절차에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