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트럼프-머독 송사로 번진 '엡스타인 파일'..머스크는 트럼프 공격 재개
정치·사회2025.07.2015:54:0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성 범죄자 제프리 엡스타인과 연루됐다는 의혹이 확산하며 미국 정치판을 뒤흔드는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월스트리트저널(WSJ)을 상대로 14조 원 규모의 소송을 제기했고, 정적으로 돌아선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공세 수위를 다시금 높이는 모양새다. 19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WSJ 기자 2명과 WSJ 발행사인 다우존스, 모회사 뉴스코퍼레이션와 창립자 루퍼트 머독 등을 상대로 자신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100억
글로벌 왓
日, 대만 진출기업에 "中침공시 알아서들 하라"…FDI 급감[글로벌 왓]
국제일반 2025.07.19 18:03:52
일본 정부가 대만에 진출한 자국 기업들에게 중국의 대만 침공 시 직원 대피가 필요할 경우 “스스로 알아서 해야 한다”고 통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이 대만의 주요 외국인직접투자(FDI) 국가 중 하나라는 점에서 일본 정부의 이 같은 조치는 대만에 타격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일본 정부 관계자들이 약 3년 전부터 기업들에게 이런 경고를 해왔다고 18일(현지
글로벌 인사이트
구글에 치이고 메타에 밀리는 오픈AI…'GPT에이전트' 게임체인저 될까[글로벌 인사이트]
정치·사회 2025.07.20 09:00:00
미국 빅테크 간 인공지능(AI) 인재 영입 쟁탈전이 달아오른 가운데 인력 유출로 골머리를 앓던 오픈AI가 새로운 에이전트 서비스를 내놓으며 승부수를 띄웠다. 주요 빅테크들이 천문학적인 돈을 내세워 인력과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에 나서면서 본격적인 ‘서비스 경쟁’의 시대로 진입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최근 오픈AI는 온라인상에서 이용자를 대신해 업무를 수행하고 처음부터 끝까지 복잡한 작업을 처리하는 '챗
  • "어, 저기 나도 갔던 곳인데 아찔"…中여행객, 日 관광지서 피습 당했다
    국제일반 2025.06.08 19:36:48
    일본 교토 지역을 여행 중이던 30대 중국인 관광객이 흉기를 든 일본인 남성에 의해 피습당하는 일이 발생했다. 8일(현지시간) 주일 중국대사관과 일본 NHK 보도 등에 따르면 지난 6일 저녁 중국인 남성 관광객 A씨는 교토시 번화가에서 식사를 마친 후 이동하다 기요미즈고조역 인근에서 낯선 일본인 남성으로부터 습격을 당했다. 사건이 발생한 지역은 호텔과 콘도미니엄이 밀집한 곳이다. 중국인 남성은 약 20명의 단체 관광객과 이곳을 지나는 중이었는데 일본인 남성이 중국인 관광객과 말다툼을 벌였다. 일본인 남성은 말다툼 끝에 흉기를 꺼내
  • 10명이 2000억 매출…AI가 만든 '초경량 유니콘'의 시대 [정혜진의 라스트컴퍼니]
    기업 2025.06.08 18:40:00
    직원 1인당 400만 달러(약 54억원) 매출이라는 놀라운 생산성은 어떻게 가능했을까. 2023년 말 갓 50명이 된 팀이 일년 간 만들어 낸 매출은 2억 달러(약 2700억원)를 기록했다. 전년까지만 해도 직원 수가 11명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해 1인당 매출(PRE)는 가장 보수적으로 잡아도 400만 달러가 넘는다. 그해의 주인공으로 꼽히는 엔비디아의 PRE가 2023년 103만 달러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압도적인 생산성을 짐작할 수 있다. 괴물같은 생산성은 낸 이 기업은 인공지능(AI) 기반 이미지 생성 플랫폼 미드저니(Mi
  • "러, 수일 내 우크라 대규모 공격"
    국제일반 2025.06.08 18:30:47
    미국 정부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예고한 우크라이나에 대한 보복 공격이 아직 본격적으로 시작되지 않았으며, 곧 대규모 다방면 공격이 이어질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정부 관계자들은 러시아의 전면적인 보복 공격 시점에 대해 "수일 내 예상된다"며 "미사일과 드론을 포함한 다양한 공중 수단이 동원될 것"이라고 익명을 조건으로 밝혔다. 앞서 우크라이나는 지난 1일 '거미줄 작전'이라 명명한 대규모 드론 공격을 감행했다. 러시아 본토
  • "AI 역량 키운다"…메타, 스타트업 '스케일AI'에 역대급 투자
    기업 2025.06.08 18:22:34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플랫폼이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스케일AI’에 수조 원대의 초대형 투자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8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메타가 스케일AI에 수십억 달러의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추후 논의 과정에서 투자 규모가 100억 달러(약 13조 원)를 웃돌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소식통은 “거래 조건이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다”면서도 “투자가 성사되면 외부 민간기업에 대한 메타의 최대 투자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스케일AI는 AI 학습에 필수적인 ‘데이터 라벨링’에 주력하는 업체
  • ‘첨단산업 2인3각‘ 中·대만, 톱티어로 韓은 여전히 민관 따로
    정치·사회 2025.06.08 18:03:24
    세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시장의 절대 강자로 통하는 대만 TSMC의 성장 배경에는 ‘민관 원팀’의 역사가 자리잡고 있다. 정부가 “산업 혁신 기반을 닦되 기업 경영에 간섭은 하지 않는다”는 원칙도 TSMC와 함께 만들어졌다. 실제 대만 정부는 TSMC 설립 때 자본금의 절반을 댄 주요 주주였지만 모리스 창 창업주의 전략과 판단을 존중했고 경영과 인사에 일절 개입하지 않았다. 반도체 장비 업계의 한 고위 관계자는 8일 “대만에는 세계 1위 TSMC뿐 아니라 미디어텍과 같은 반도체 설계 회사도 함께 성장하고 있다”며 “정부가
  • 볼리비아서 '수교 60주년 기념' 韓문화공연 무대
    국제일반 2025.06.08 18:01:40
    주볼리비아 한국대사관이 한국·볼리비아 수교 60주년을 맞아 한국 문화 공연 ‘대한사람’의 초청 무대를 선보였다고 7일(현지 시간) 밝혔다. 전날 저녁 수도 라파스 에스파시오 쿠우 극장에서 열린 공연에서 대한사람은 춘앵무·아리랑·사물놀이 등을 300여 명의 관객에게 선사했다. 볼리비아 대표 그룹인 ‘로스 크하르카스(Los Kjarkas)’의 명곡 ‘무나스케차이(Munasquechay)’를 한국 전통 악기로 편곡해 큰 박수를 받기도 했다고 대사관 측은 전했다. 이어진 수교 60주년 기념 리셉션에서는
  • 트럼프 "머스크와 끝났다"…혹독한 결별 대가 치르나
    국제일반 2025.06.08 17:45:4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감세법안을 공개 저격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손절하고 나섰다. 머스크가 트럼프 대통령을 공격한 소셜미디어 게시물을 삭제하는 등 화해 가능성을 내비치고는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다시 만날 뜻이 없다”며 완강한 입장이다. 일각에서는 그간 서로에게 ‘자금줄’과 ‘정치적 방패막이’ 역할을 해왔던 만큼 결별의 대가가 상당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 시간) NBC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머스크와의 관계가 끝난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며 잘라 말했
  • 韓 압박수위 탐색…'트럼프 노림수' 포석도
    경제·마켓 2025.06.08 17:41:49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 간 통화 이후 미국의 공식 발표가 없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동부 시각 기준으로 6일 오전 9시(한국 시각 6일 오후 10시) 약 20분간 통화했다. 통화 직후 한국 대통령실은 내용을 상세히 공개했으나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은 이렇다 할 발표가 없는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이 개인적으로 자주 활용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공개조차 없자 일각에서는 트럼프의 고도 전략이라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다. 8일 외교가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가 이
  • "지구 '종말의 날' 다가온다?"…호주 해변서 발견된 초대형 심해어 '깜짝'
    정치·사회 2025.06.08 17:30:52
    일명 '종말의 날 물고기'(Doomsday fish)로 불리는 거대한 산갈치가 호주 해변에서 발견됐다. 이 어종이 목격될 때마다 지진과 해일 등 대규모 자연재해가 발생한다는 소문이 돌면서 일각에서는 '대재앙의 징후'로 통한다. 7일 뉴시스와 영국 매체 데일리메일 등에 따르면 지난 2일(현지시각) 호주 태즈메이니아 서쪽 해변에서 길이 2.7m의 산갈치가 발견됐다. 반려견과 함께 인근을 산책하던 주민 시빌 로버트슨은 희귀 심해어인 거대 산갈치를 발견했다. 그는 "처음에는 정체를 알지 못한 채
  • 트럼프, 파월 해임 수순 밟나… "차기 연준 의장 곧 발표"
    정치·사회 2025.06.08 17:08:39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해임하고 새 연준 의장을 조기에 지명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7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대통령전용기(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과 만나 “차기 연준 의장에 대한 결정이 곧 발표될 것”이라면서 “좋은 연준 의장이란 금리를 인하할 줄 아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유력 후보자로 거론되는 케빈 워시 전 연준 이사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매우 높은 평가를 받는 인물”이라고 답했다. 워시 전 이사는 조지 W 부시 행정부
  • 미·중 '톱다운 협상' 속도 내지만…희토류 갈등 해소 기대는 '아직'
    경제·마켓 2025.06.08 17:05:19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통화를 계기로 미중 무역 회담이 급물살을 타고 있지만 갈등을 해소하는 수준의 진전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직전 제네바 회담에서는 파국을 막아야 한다는 양측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합의가 이뤄졌지만 이번에는 희토류나 인공지능(AI) 기술 수출제한 등 각자의 양보가 필요한 복잡한 의제가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8일(이하 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단은 9일 영국 런던에서 두 번째 협상을 갖는다. 중국 측은
  • 주지사 요청 없이 "방위군 투입"…60년만에 처음
    정치·사회 2025.06.08 17:05:11
    미국 정부의 강압적인 불법 이민지 단속에 반대하는 시위가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이틀째 이어지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현역 병력을 투입하는 명령을 내렸다. 7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만연하게 방치된 불법행위를 해결하기 위해 2000명의 주방위군을 배치하는’ 내용의 대통령 각서에 서명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을 통해 “민주당의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시위 진압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며 “시위가 지속될 경우 연방정부가 개입해 폭동과 약탈자들을 해결할 것”이라
  • "팬덤 파워 크다"…‘크리에이터 창업’에 꽂힌 AC업계
    기업 2025.06.08 17:02:23
    국내 대표 액셀러레이터 프라이머가 최근 초기 창업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배치(Batch) 프로그램 모집에서 새로운 카드를 꺼내들었다. 유튜브, 틱톡 등 소셜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크리에이터를 창업자로 육성하는 프로그램을 신설한 것이다. 강력한 팬덤을 초기 수요 고객으로 삼아 빠르게 사업을 확장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를 위해 이십대 크리에이터 출신 설은서 파트너를 영입했다. 8일 투자 업계에 따르면 투자 회수 불확실성과 자금 경색 등 장기화된 투자 혹한기에 크리에이터 기반 창업이 새로운 탈출구로 부상하고 있다. 권도균 프라이머 대
  • "어려 보일 수 있다면 2억쯤이야"…요즘 日 남성들 '이것'까지 한다는데
    국제일반 2025.06.08 16:36:05
    외모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일본에서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 극단적인 자기관리 루틴을 실천하는 남성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은 단순한 미용을 넘어 노화에 대한 공포와 사회적 평가 압박 속에서 '동안 루틴'을 생활화하며 상당한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지난 2일(현지시간) 피부 관리와 식이요법 등에 막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 일본 남성들의 사례를 전했다. 도쿄 거주 33세 회사원 아키(가명)는 약 10년 전 직장 상사로부터 "머리숱이 줄어 늙어 보인다"는
  • "트럼프 너무 싫어" 美 떠나는 부자들…올해 14.2만명 고국 떠난다[글로벌 왓]
    정치·사회 2025.06.08 15:06:29
    자산 100만 달러 이상을 보유한 전 세계 부자들이 고국을 떠나 해외로 속속 이주하고 있다. 정치적 불확실성과 높아지는 세금 부담, 규제 강화에 대한 불안 등의 이유로 피난처를 찾아 나선다는 해석이 나온다. 8일(현지 시간)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 따르면 올해 국경을 넘어 해외로 이주하는 고액 자산가들은 14만 2000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10년 전인 2015년(6만 4000명)의 두 배를 훌쩍 뛰어넘는 규모로, 현실화되면 역대 최대치다. 미국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재선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해외 이주를 결심한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