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나의 2012년 경제 전망: 아주 신중하게 낙관한다

by John Cassidy
번역: 류지예 yoojiye@gmail.com
독자의견: letters@fortune.com


지난4년간의 경기 침체와 평균 이하의 성장률을 뒤로 하고 2012년은 미국 경제가 드디어 기지개를 펴는 해가 될 수 있을까? 유럽의 재정 위기에도 불구하고 (경기의 호전 없이는 재선 가능성이 희박해 보이는) 오바마 대통령을 포함한 많은 미국인들은 그렇게 믿고 싶어한다.

우선 희소식부터 전하자면 최근의 경제 성적은 기대치 이상이었다. 지난 6월만 해도 필자는 유가 상승과 경기 부양책 축소를 이유로 더블딥 경기침체의 가능성을 제기한다면 시기상조적인 판단이냐고 질문한 적이 있다. 그 후 많은 이들이 마음을 졸이며 불안해했지만 결과적으로는 괜한 걱정이었다. 7월부터 9월 사이 GDP는 연율(年率)로 약 2% 상승했고, 4분기 상승률은 3%에 근접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 정도 수준의 상승률을 유지할 수만 있다면 실업률은 줄어들 것이다(그리고 오바마 대통령의 재선 가도는 훨씬 수월해질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경제 성장치를 이보다 보수적으로 관측하고 있다. 미국의 전국기업경제학협회(NABE)가 산출한 2012년 GDP성장률 전망 중간치는 2.4%였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지난 6개월 간의 성적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비관주의에서 벗어나고 있는 필자는 (1997년부터 2007년까지 10년을 그린스펀·버냉키 FRB 의장 시절의 번영에 의문을 제기하며 보냈다) 경기 전망을 좀 더 긍정적으로 바라보려 노력하고 있다.

실제로 낙관적 전망은 존재한다. 이를 뒷받침하는 요소도 몇 가지 있다. 첫째, 기업들이 채용에 나섰고 실업률이 마침내 떨어지고 있다. 둘째, 경제에 세금과 같은 부담으로 작용하는 유가 상승을 당분간은 걱정할 필요가 없다. 휘발유 가격은 지난 여름 갤런당 4달러를 넘었다가 이젠 평균 3.30달러(소비자 구매 기준) 정도로 하락했다. 향후에는 3달러 미만으로 떨어질 수도 있다. 전 세계적으로 원유 비축분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유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셋째, 그동안 억눌렸던 소비 수요가 풍부해졌다. 블랙프라이데이*역주: 추수감사절 직후 파격적인 세일이 행해지는 금요일에 쇼핑몰마다 북새통을 이룬 광경에서 알 수 있듯이 미국인들은 여전히 쇼핑광이다. 지난 수년간은 허리띠를 졸라매고 생활했지만 이젠 다들 새 차나 새 전자제품을 구입하거나 집을 리모델링하거나 럭셔리한 휴가를 떠날 준비가 되어 있다. 여전히 부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부동산 분야를 제외하곤 많은 기업들이 영업 호조를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그린스펀·버냉키 의장 체제의 신용 버블 시기 동안 누적된 경제 불균형 요소들이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았을지라도 다소 완화되었다. 소득 대비 주택 가격은 다시 평균치로 돌아왔고 개인 저축률도 상승했다. 부채 부담도 줄어들었다. 2007년 미국의 평균 가정은 소득의 약 14%를 대출금 상환에 지출했지만, 현재 이 수치는 11%로 줄어들었다.
가계가 개선되고 금리가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는 지금, 미국 경제는 몇 년간 3%대 성장을 이룰 수 있어 보인다. 하지만 다른 분야의 여건이 모두 밝지만은 않다는 위협이 사실 도사리고 있는데, 이를 ‘정치’라는 단어 하나로 정리할 수 있다.

의회의 교착 상태를 타개하지 못한다면 내년 1월 미국 경제는 근로소득세 인상, 실업수당 하락, 연방정부 지출 삭감이라는 삼중고에 처하게 된다. 이 세 가지 조치(또는 무조치)를 합하면 2012년 동안 GDP가 2%p가량 떨어져 경제를 위험으로 몰고 갈 수 있다. 워싱턴 정가가 올바른 결정을 내려 근로소득세 삭감 조치와 실업수당을 연장한다 해도 또 다른 정치 집단에 의해 경기 전망이 달라질 수 있다. 바로 유럽의 정계다.

유럽 채권 시장의 매수세를 살리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는 명백하다. 독일을 위시한 유럽의 각국 정부는 최종 대부자 lender of last resort 역할을 맡아야 하고, 유럽의 구제금융기금을 확충해야 하며, 미국 정부의 부실자산구제프로그램(TARP)에 상응하는 계획을 통해 은행들의 재무구조를 개선시켜야 한다. 이런 조치가 현실화되고, 유럽의 정부들이 정신을 차렸다는 확신을 시장에 줄 수 있을 때 미국 증시의 랠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이는 경기에 아주 시의적절한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이다. 최근의 유로화 안정 노력은 12월 9일 열린 EU정상회의에서 절정을 이뤘다. 하지만 누가 대혼란 속 유로화의 폭락과 은행의 파산, 글로벌 패닉 대신 이런 긍정적 시나리오 쪽에 내기를 걸겠는가?

사실은 필자가 그럴 생각이다(다만 크게 걸지는 않겠다). 그렇기 때문에 결론적으론 매우 조심스런 낙관론자로 남을 것이다.

이 글의 필자 존 캐시디 John Cassidy는 포춘 기고자 겸 뉴요커 지 기자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