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세계 최대 호화 페리선 타니트

대한민국 기술로 건조된 타니트호의 친환경 추진 기술

지난 5월 대우조선해양의 옥포조선소에서는 최신형 호화 카페리선의 명명식이 있었다. 튀니지의 국영선사인 코투나브로부터 지난 2010년 약 3억 달러에 수주한 이 카페리선은 고대 카르타고인들이 숭배한 달의 여신의 이름을 따 '타니트(Tanit)'로 명명됐다. 작년 3월 강재절단식을 시작한 이후 14개월간의 건조과정을 거쳐 완성됐으며 현재는 튀니지의 페리 운영기업인 코투나브에 인도돼 손님들을 맞고 있다.

길이 212m, 폭 30m, 배수량 5만1,000톤 규모로 페리선 중 세계 최대인 타니트호는 성능에 있어서도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선실만 814개를 갖추고 있으며 3,200명의 승객과 285명의 승무원, 1,060대의 자동차를 한 번에 실어 나를 수 있다. 재화중량은 최대 1만1,500톤에 달한다. 그리고도 최고 시속 27.5노트(51㎞)를 낸다.

시대가 시대이니 만큼 다양한 위락시설이야 기본이다. 3개층에 걸쳐 약 1만1,000㎡의 공간에 쇼핑센터, 유아 놀이시설, 레스토랑, 수영장, 나이트클럽, 인터넷 카페 등 다양한 승객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타니트호의 주인이 된 코투나브는 6월부터 9월까지의 성수기 때는 튀니지와 프랑스 및 이탈리아를 오가는 정기 항로에 투입하고 비수기의 경우 바다를 유람하는 크루즈 관광 용도로 활용할 방침이다. 유럽에 갈 일이 있다면 한번쯤 타보면 어떨까.

저 매연 주엔진
타니트의 주엔진은 독일 만(MAN)의 최신 모델인 커먼레일 12밸브 48/60CR 티어-II 4기다. 엔진 하나의 출력이 14,400㎾며 크루즈선 분야에서 익히 정평이 나 있는 모델이다. 이에 더해 3,000㎾급 STX 엔진 4기가 보조 백업엔진으로 추가돼 있다. 주엔진은 커먼레일 기술에 힘입어 각 실린더별 연료의 분사 타이밍과 분사 시간, 분사 압력이 개별적으로 설정된다. 때문에 연료 소비를 최적화할 수 있으며 유해배기가스 배출량 역시 다른 엔진의 몇 분의 1에 불과하다.

질소산화물 킬러
엔진은 만(MAN)의 안전제어시스템(SaCoSone)에 의해 제어된다. 통합형 자체 진단기능을 갖춰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특히 이는 유해 배기가스인 질소산화물(NOx)의 배출 억제에 특화돼 있다. 연료분사 타이밍 지연시스템이 엔진의 연소열 배출시간을 늦춰 연소실의 최고 온도를 낮춤으로써 NOx 배출을 최소화한다.



NOx는 물과 반응해 산성비 및 오존층 파괴의 원인인 질산(HNO 3)으로 변하기 때문에 물 위를 항해하는 선박에서는 이산화탄소만큼이나 배출저감에 힘써야하는 배기가스다.

저소음 스크루 프로펠러
추진력 제공의 당사자인 스크루 프로펠러는 만(MAN)의 알파 CP 프로펠러 타입 VBS1800-ODF 2기가 채용돼 있다. 직경이 5.6m로 출력 밀도가 1㎡당 1,169㎾에 이른다.

각 프로펠러는 기어박스를 통해 주엔진 2기와 연결돼 구동력을 얻는다. 제조사에 따르면 블레이드의 설계를 유체역학적으로 최적화해 추진 효율을 높이면서 소음과 진동을 유발하는 캐비테이션은 낮출 수 있다. 추진장비의 중량은 약 300톤이다.

백업 플랜
타니트호는 긴급상황이 발생해도 항구로의 안전한 귀환을 보장하는 국제안전협약 'SRTP(Safe Return To Port)'를 준수한다. 이를 위해 침수, 화재 등의 사고 발생 시 승객과 선박을 보호하기 위해 주엔진, 발전기 등 항해와 관련된 핵심 장비들이 이중 배치돼 있다. 때문에 운항 중 특정장비가 멈추더라도 백업 장비를 가동, 정박 및 수리가 가능한 최단거리의 항구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훈 과학칼럼니스트 enitel@hanmail.net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