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 헤지펀드가 지지부진한 것은 시장상황 탓도 있지만 무엇보다 국내 금융회사의 실력과 시스템이 제대로 뒷받침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운용사들은 대부분 저평가된 주식을 사고 고평가된 주식을 내다팔아 이익을 극대화하는 단조로운 전략만 구사하다 보니 지금처럼 변동성이 큰 장세에서는 맥을 못 추기 마련이다. 글로벌 경쟁펀드처럼 다양한 투자기법을 동원하거나 기업 인수합병(M&A)시장에 뛰어드는 전략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가들이 헤지펀드 투자에 나서겠다면서도 국내 헤지펀드를 아예 제외하는 것은 눈여겨볼 대목이다.
우리 금융의 글로벌 경쟁력이나 미래 성장동력을 갖추자면 토종 헤지펀드를 육성해야 할 필요성은 크다. 이런 점에서 관련산업을 키우기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안의 연내처리가 무산된 것은 여러모로 안타까울 따름이다. 토종 헤지펀드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수익률이나 투자기법에서 차근차근 신뢰를 쌓아가는 노력이 중요하다. 해외펀드처럼 다양한 투자전략을 도입하고 투자 대상을 늘려나가는 금융회사의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전문인력을 확충하고 기존 펀드와 확실한 차별성을 보이려는 노력도 이뤄져야 한다.
금융당국도 헤지펀드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등 보완책을 내놓고 있지만 투자위험만 강조하다 보니 시장의 기대에는 못 미친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선진국에 비해 높은 가입액 기준을 낮춰 투자자의 저변을 확대하고 운용의 자율성을 더욱 확대하는 방향으로 규제를 대폭 개선해야 한다. 한국형 헤지펀드가 신시장 개척을 통해 금융계의 벤처기업으로 활약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